학술논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이용수 198
- 영문명
- Verification of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성은(Sungeun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451~46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검증하고 사회정서발달과의 종단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2012)와, 6차년도(2013), 7차년도(2014) 자료 639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6, M-plus 8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M-plus 잠재성장모형, 잠재계층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였고, 잠재계층성장모형으로 도출된 변화유형 집단변수를 활용하여 교차분석(-test)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변화유형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잠재계층성장모형 분석결과, 1집단은 고수준 유지, 2집단은 고수준 감소, 3집단은 저수준 유지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 변화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특성의 차이는 성별, 부연령, 모학력 등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저수준 유지에 비해 고수준 유지는 사회정서발달 수준이 높았으나, 고수준 감소는 저수준 유지와 사회정서발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사회성에 대한 효과성을 위해 초기뿐만 아니라 그것을 유지할 수 있는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peer play interaction in young children and empirically analyze their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social-emotional develop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used data from 639 people in the 5th(2012), 6th(2013), and 7th(2015) years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 and M-plus 8 program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M-plus latent growth models, the study identified the patterns of change i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It also conducted cross-analysis using the latent class growth model-derived change type group variables, and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mpact of peer play interaction change types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atent class growth model, it was confirmed that group 1 maintained a high level, group 2 decreased a high level, and group 3 decreased a low level.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birth order, and maternal education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ypes of changes in peer play interaction. In terms of their impact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t was confirmed that maintaining a high level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social-emotional development compared to maintaining a low level. However, the decrease in a high level did not show a difference i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compared to maintaining a low level.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continuous intervention is necessary not only at the initial stage but also to maintain the effectiveness of peer play interactions on soci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5호 목차
-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가정 내 영유아 인성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분석
- 가족단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에 근거한 청소년 5분 명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위한 상황학습기반 전문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 자아탄력성, 교사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 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 교과 교육 연결 방안 탐색
- 시각 자료 기반 쓰기 프롬프트 제시 양상 분석
- 탐구공동체 기반 비판적 문식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이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교육에서의 프로그래밍 교육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낙관성 및 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activities and language skills
-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 REBT의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회정서학습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 사람 그림검사(Draw-A-Person)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간호 실무준비도, 실습전환충격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기준 타당성 분석
- 예비보건교사의 보건·의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교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중급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경제·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놀이치료사의 수퍼비전에 대한 주관성 연구
- 머신러닝 중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중등 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유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자의 다문화감수성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정서발달 간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지시하기와 장르의 관계 연구
- 애착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 권리존중 간 관계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