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3

영문명
Impacts of Death Percep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of Nursing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진동휘(Donghwi Jin) 박인규(Ingyu Park) 김현석(Hyeonseok Kim) 김명선(Myeongsun Kim) 김윤영(Y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97~10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임종간호태도 형성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바람직한 임종간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3년 09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G 지역의 간호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간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임종간호태도는 연령(t=-2.570, p=.011), 학년(F=10.379, p<.001), 임상실습경험(t=3.771, p<.001), 호스피스 병동실습경험(t=2.108, p=.037), 임종관련 교육경험(t=2.251, p=.026), 대인관계(F=3.569, p=.03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주었던 일반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회귀모형을 확인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은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약 25%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향상을 위해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형성과 긍정적인 죽음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death and professional attitudes on their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The primary objectives were to provide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end-of-life care practices and to identify strategies for enhanc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in this critical a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180 nursing students in the G region between September 2023 and October 2023.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software, employing t-tests and ANOVA to explore differences in variables based o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tiliz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Moreo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how perceptions of death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Results The study revealed variations in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based on factors such as age (t=-2.570, p=.011), academic year (F=10.379, p<.001),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3.771, p<.001), hospice ward practicum experience (t=2.108, p=.037), end-of-life education experience (t=2.251, p=.026),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3.569, p=.031). After controlling for relevant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demonstrated that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death and professional attitudes significant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explaining approximately 25% of the variance. Conclusions To enhanc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diverse programs aimed at promoting appropriate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s and foster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동휘(Donghwi Jin),박인규(Ingyu Park),김현석(Hyeonseok Kim),김명선(Myeongsun Kim),김윤영(Yunyoung Kim). (2024).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97-107

MLA

진동휘(Donghwi Jin),박인규(Ingyu Park),김현석(Hyeonseok Kim),김명선(Myeongsun Kim),김윤영(Yunyoung Kim). "간호대학생의 죽음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97-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