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이용수 0
- 영문명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Defining Civic Qualif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혁준(Hyeokjune Cha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51~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민교육의 우선 과제 중 하나는 해당 사회에서 살아가기에 적합한 시민의 자격을 규정하는 원리(존재 방식)를 밝히는 작업일 것이다. 그 기초적인 작업으로, 본 연구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의 자격이 어떻게 규정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방법론적 토대로서 문화사회학적 접근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문화체계의 내적 원리를 규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문화코드 분석의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힌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사회학적 입장에서 ‘성’과‘속’의 이항적 분류체계는 자의적 성격을 가진다. 둘째, 의미체계로서 문화는 인간의 행위와 사회구조 사이의 매개물로, 시민의 자격은 그 과정에서 조정되고 합의된 문화적 구성물이다. 셋째,‘민주’와‘반민주’라는 문화코드의 이원성과 상호 규정성이 시민 자격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시회구조의 구성요소(담론구조)를 문화코드로 해석하는 가운데 시민사회의 이념형이 마련되고, 이는 시민의 자격으로 규정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ne of the priorities of civic education should be to identify the principle (existent method) that defines what qualifies a citizen to live in a society. As a foundational work,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investigate how civic qualifications are defined in democratic societies.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as a methodological foundation, then revealed the inner principle of cultural systems, and finally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code analysis. Her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binary categorization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is arbitrary in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Second, culture as a system of meaning is the mediator between human behavior and social structure, and qualification of citizens is a cultural construct that has been adjusted and agreed upon in this process. Third, the duality and mutual regulation of cultural codes, which are divided into ‘democratic’ and ‘anti-democratic’ codes serve as criteria and assessments for civic qualific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components of the social structure (discourse structure) into cultural codes establishes the ideological type of civil society, which can be defined as civic qualif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시민 자격 분석의 방법론적 토대로서 문화사회학적 접근
Ⅲ. 사회 구성원의 문화적 구성물로서 시민 자격
Ⅳ. 시민의 자격에 관한 문화코드 분석의 의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