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 on the Creative Thinking and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정은(Jung-Eun Jung) 이숙향(Suk-Hyang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313~3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 현장에서도 창의적 사고 역량, 사회적 역량 등 미래 사회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메이커교육은 학습자 중심 교육 방법의 하나로, 학습자가 다양한 도구와 재료를 사용해 직접 작품을 설계하고 제작하며 공유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함으로써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MSI모형을 바탕으로 한 16차시의 팀 프로젝트형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 2명을 포함한 초등학교 6학년 통합학급 학생 39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담임교사가 함께 협력교수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장애학생과 특수교육대상학생 모두 창의적 사고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인 협력교수를 활용하여 메이커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교수 실행 사례를 제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future social core competencies such as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Maker education is one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and includes activities in which learners directly design, produce, and share works using various tools and material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 creative thinking and social competencies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 class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teaching. To this end, a team project-type Maker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sixteen sessio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TMSI model, and 39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 including two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taught co-teaching.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mproved their overall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social competen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y conducting Maker education using co-teaching, one of the method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a cas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teaching between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special teacher in the inclusive class was provided and its effects were confirm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