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ontent Analysi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Mandated Period of Environment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Society’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a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윤경(Yun-Kyoung Park) 전자배(Jabae Ch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185~2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기본법과 환경교육법에 생태전환교육과 학교 환경교육의 의무화가 명시된 이후 개정된 사회과 교육과정에 환경 시민 교육 내용이 반영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환경’,‘생태’,‘기후변화’,‘기후위기’,‘지속가능’ 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내용 분석을 수행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목표에 지속가능한 삶이라는 환경 시민 교육 내용이 명시적으로 반영되었다. 둘째, 환경 시민 교육 내용 요소가 크게 증가하고 다양화되었다. 셋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범주에 고루 환경 시민 교육 내용이 반영되었으며 경제 영역에서 지속가능성 연계 단원이 제시되었다. 또한 환경 이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환경문제와 쟁점에 대한 내용이 일부 반영되었다. 넷째, 생태감수성, 환경감수성 뿐만 아니라 환경 참여와 실천을 강조하고 있으며, 초등 단계에서 중등 단계로 가면서 환경 시민 교육 내용이 심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사회과 환경 시민 교육의 총체성 강화, 내용 요소의 가시화, 환경문제/쟁점 중심, 실천 요소 강화 및 지속성/심화의 측면에서 일부 개선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학교급별 실천성 지향의 차이, 내용 영역별 분리와 집중 현상, 환경 시민 교육의 다양한 접근 방식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citizenship education (ECE) is reflected in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fter the Basic Education Act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ct, which mandat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nd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is e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2022 revised 『Society』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five keywords: environment, ecology, climate change, climate crisis, and sustainabili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citizenship content of sustainable living was explicitly reflected in the objective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the content elements of E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iversified. Third, the content elements of ECE were evenly incorporated into the categories of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es/skills, and values/attitudes in the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and environmental issues and problems were partial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Fourth, there was an emphasis on environmental engagement and action, and the content of ECE seemed to deepen from the primary to the secondary level. This shows that some improvemen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holism of environmental citizenship education, making the content elements of ECE more visible, focusing on environmental problems/issues, strengthening the practice elements, and the continuity/depth of ECE. However, the differences in practice between school levels, the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of ECE content elements 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and geography domains, and the need to address different approaches to ECE were highlighted as problems and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사회과 교육과정의 환경 시민 교육 내용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