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Faculty Turnover in Local Universitie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한송이(Songie Han) 김경언(Kyeongeon Ki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363~3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교원 이직 현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대학 교원의 이직 전후의 경험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방대학에 재직한 경험이 있고, 최근 5년간 이직을 경험한 교원 5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으며, 귀납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이직 전후의 경험과 의미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이직을 경험한 교원은 이직 전 흔들리는 교수정체성, 동료와의 관계 어려움, 불안정한 조직과 개인을 경험하였고, 이직 후 새로운 시작에 대한 불안감, 안정적인 삶, 가르치고 연구하는‘교수’로서의 삶을 경험하였다. 이직을 경험한 교원은 대학 교원의 이직의 의미를 생존과 정체성, 더 나은 환경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대학교원의 이직은 교수로서의 정체성과 안정감 확보 여부에 따라 의미가 부여되고 있었으며, 대학 구조적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의 절대적‘생존’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원 역할 다변화에 따른 교원 정체성에 대한 연구 확대 필요성과 교원의 만족과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학 조직문화 개선에 대한 학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faculty turnover in local universities an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associated with faculty transitions before and after such turnover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aculty members who had worked at local universities and transitioned to other institutions within the past five years. Using an inductive analysis approach, the study identified key themes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ascribed to these transi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ior to turnover, faculty members faced challenges such as a waveri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straine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organizational as well as personal instabilities. Following their transitions, they reported feelings of anxiety about new beginnings, aspirations for a more stable life, and a renewed sense of purpose as educators and researchers. Faculty turnover was perceived as a process of survival and a means to rediscover personal, academic, and educational identities while seeking improved professional environments. The findings underscore that the ability of university faculty to secure their identity and stability plays a critical role in their professional satisfaction, reflecting an essential aspect of survival rather than merely a pursuit of better conditions. Based on these insights, the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emphasizing the need to expand research on faculty identity in light of the evolving roles of university faculty. Additionall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organizational culture within universities to enhance overall faculty satisfaction and adapt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송이(Songie Han),김경언(Kyeongeon Kim). (2025).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열린교육연구, 33 (1), 363-387

MLA

한송이(Songie Han),김경언(Kyeongeon Kim).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열린교육연구, 33.1(2025): 363-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