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이용수 0

영문명
Young Children’s Findings and Understanding During Free Play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희태(Wheetai Ki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239~26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발견과 이해에 대해 탐구하고 논의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교실에서 참여관찰로 유아들의 또래 놀이를 약 9개월 동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발견과 이해는 사물의 속성, 특징에 대한 발견과 이해, 사회적 개념의 발견과 이해, 수 개념의 발견과 이해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의 또래 놀이는 지식 발견과 이해의 지대(zone)라는 점과 그것의 주된 통로는 감각적 지각과 인상, 탐구,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또래 놀이 상호작용은 유아들의 발견과 이해를 이끌므로 유아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young children’s findings and understanding during play with peers. 15 young children had been observed for 9 months in the preschool classroom.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and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in this study were grouped as three domains, which is findings and understanding about an object’s property and characteristics, social concepts, and math concepts. The meaning of the findings implies that young children’s play and interactions with peers is the zone for their findings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The study found that young children relied on sensory perception and impression, experimentation with explor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Also, this study implies play materials are the preferred way to get into peer’s play than the linguistic strategy. In results, this study mean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important to utilize th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to positively affect play and associated interactions with pee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태(Wheetai Kim). (2025).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열린교육연구, 33 (1), 239-260

MLA

김희태(Wheetai Kim).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열린교육연구, 33.1(2025): 239-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