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xploration of Operational Conditions for Extended Essays that Foster Conceptual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송슬기(Seulgi S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79~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식의 양보다 질이 강조되는 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수업과 평가의 방향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 속에 출발한 연구이다. 최근 교육계는 변화하는 학습 맥락에 맞추어 ‘깊이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전이가 일어나는 학습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 ‘개념’에 대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연구는 깊이있는 학습에 도달하기 위한 개념의 정의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개념의 성격과 그에 따른 평가의 방향은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념에 대한 탐구는 학습자의 전인적 참여와 연결된다는 탐색과 함께 개개인의 전인성을 보장하기 위한 평가의 방식으로써 학습자의 구성가능성이 폭넓게 보장되는 확장형 논술에 주목하였다. 나아가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 참여로서의 논술형 평가의 특징을 반영한다고 판단한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 프로그램의 인문계 고등학교 과정, 즉 IB DP에서의 확장형 소논문(Extended Essay) 작성 과정에 주목하였다. 연구는 심층적 개념탐구를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설계 조건으로 1) 학습자의 개입가능성을 열어두는 설계 2) 학습자의 시행착오 기회를 보장하는 설계 3) 설득가능성을 확보해가는 과정에서 정교화되는 탐구 설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념적 학습이 심층되어가는 확장형 논술의 설계 장치들을 탐색하였으며, 이로부터 확장형 논술의 설계 방향에 대해 타진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 question of how teaching and assessment should evolve in the context of a changing learning paradigm, where the quality of knowledge is emphasized over its quantity. Recently, education has focused on learning that leads to transfer based on “learning in depth” with an emphasis on learning “concepts” as a method to achieve thi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definition of concepts necessary to reach learning in depth, the nature of concepts, and how assessment can be designed based on these insights. The exploration of concepts is closely related to the holistic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the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methods that ensure individual learners’ holistic development, with a focus on extended written responses that guarantee a broad scope for learner potential. To substantiat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Extended Essay process i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Diploma Programme, a key component of the curriculum, as i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written assessments. The study identifies three design conditions for extended written assessments that encourage in-depth conceptual exploration: 1) designing to allow learner engagement, 2) ensuring opportunities for trial and error, and 3) fostering a refined inquiry process that secures persuasivenes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case analys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esign mechanisms of extended written assessments that deepen conceptual learning and explores possible directions for designing such assess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사례분석
Ⅳ. 연구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