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of Pre-primar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봉(Chaebong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213~2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문화 간 의사소통을 할 때 인식하고 있는 의사소통 불안의 양상을 조사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한 것이다. 탐색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 불안을 거의 느끼지 않으며, 느끼더라도 불안의 정도는 높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비록 의사소통 불안이 높지 않은 양상을 보이더라도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이중관점 모델을 제안했다. 둘째, 불안을 많이 느끼는 것과 적게 느끼는 것 중에서 적게 느끼는 것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의사소통 불안을 줄이기 위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지식, 기능, 태도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성별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 양상은 다음과 같다. (1)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불안을 덜 느끼고 있다. (2) 집단 토론을 할 경우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불안을 덜 느낀다. (3) 대화를 할 경우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불안을 덜 느낀다. 넷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을 근거로 할 때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다른 문화의 구성원들과 상대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함께 하는 교육적 기회를 늘릴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perceived by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en they talk between cultures. A summary of the searched content is as follows. First,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rely feel apprehension in cultural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apprehension is low. In this article, a double view model was proposed as a way to overcome communication apprehension even if it did not show a high overall pattern. Second, it shows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feel less between feeling a lot of apprehension and feeling less.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communication apprehension, education tool that can interact aroun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ward and other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ccording to gender are as follows. (1) Male students are feeling less apprehension than female students. (2) Female students feel less apprehension male students in group discussions. (3) Male students feel less apprehensiv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case of mass conversation. Forth, based on the patter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accept, and share members of other cultures and relative cultur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