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Manag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Major Curricula: Focusing on the Case of H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서일보(Ilbo Se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129~1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전공교육과정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과 모형을 정리하고, 국내·외 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타당한 평가를 위해 ADDIE 모형과 CIPP 모형을 결합하여 전공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평가 준거를 기반으로 4개의 평가영역, 14개의 평가항목, 33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는 H 대학의 실무자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를 통해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전공 능력 평가 보고서와 강의 만족도 결과와의 연계를 통해 학과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다양한 교육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전공교육과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조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단편적인 평가를 넘어 전공 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학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생의 학습 성과 증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평가도구의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본 도구의 실효성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valuation tool for systematically managing the quality of major curricula. To achieve this, the concepts and models of curriculum evaluation were reviewed,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curriculum evaluation at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ADDIE model and CIPP model were combined to design a framework capable of systematically evaluating the entire process of major curricula.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derived from this framework, an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consisting of four evaluation areas, 14 evaluation items, and 33 evaluation indicators. The validity of this tool was verifi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 was further validated for practical applicability through discussions with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responsible for managing major curricula at H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tool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to assess and improve the operational status of academic curricula by linking it with major competency evaluation reports and cours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Notably,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value by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diverse educational stakeholders and offering a systematic basis for determining necessary actions at each stage of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in curriculum evaluation. This study goes beyond fragmented evaluations to present a tool for systematically manag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major curricula,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higher education quality and student learning outcom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verifying the applicability of the tool across diverse settings and conducting long-term analyses to further validate its effectiv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