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Learning Based Classes: Focusing on Campbell’s Policy Making Model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서현(Seohyun Kim) 이인선(Insun Lee) Tong Phuoc Nguyet Anh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1호, 27~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배움중심수업이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발전된 과정을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에 따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교육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배움중심수업은 일본의 ‘배움의 공동체’ 운동에 영향을 받았으며, 학교의 변화를 위한 출발점을 수업으로 여겨 배움과 성장, 나눔을 실천하는 총체적인 교육활동의 혁신이자 비전, 교육철학이라 할 수 있다. 배움중심수업이 우리나라에 발전된 과정은 상향식과 하향식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각 시·도교육청별로 공식적으로 반영된 시기가 다르고 교육감 선거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는 등 그 과정이 매우 역동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배움중심수업의 철학 및 비전에는 대부분의 교육구성원들이 공감을 하고 있으나 막상 대학 입시 장벽에 부딪혔을 때 충돌이 일어나는 특징이 나타났으며, 제도화되면서 확산 속도는 빨랐지만 이 과정에서 교사의 자발성이 사라지는 현상도 발생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정책의 질적 제고가 필요하며, 안정적인 시스템 안에서 교사가 수업에 일심전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학교급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하며, 교사들의 자발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learning-based classes introduced using Campbell's policy-making model.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Campbell's policy-making model were identified and the timing of the application of learning-based classes were class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cess in which learning-based classes were developed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bottom-up and top-down, and the process was very dynamic because each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officially applied it. In addition, most educational members agreed with the philosophy and vision of learning-based classes, but when students faced challenges during university entrance exam preparation, conflicts occur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olicies,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focus on classes within a stable system, and to seek approach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level and to draw implications that it should be teacher spontaneity-center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분석틀
Ⅳ. 배움중심수업의 확대 및 적용 과정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 배움중심수업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 모색: Campbell의 정책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개념적 학습을 유도하는 확장형 논술의 운영 조건 탐색
- 지방대학 교수의 이직 경험과 의미
- 대학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교 환경 시민 교육 의무화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2022 개정 『사회』 및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불안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공교육과 사교육의 관계 재검토: 철학적 분석
-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 메타버스 활용 마을교육 모형 개발 연구
- 문민정부 개혁정책을 통한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 사례분석과 평가
- 자유 선택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발견과 이해
-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잠재계층 전이양상 및 예측요인 탐색
- 초등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한 지방 소규모 사립대의 과정 중심 평가 전면 시행 첫 학기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