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이용수 295

영문명
Awareness and Needs for Media Regul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준오(Jun-Oh Jo) 장인수(In-Su J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3호, 875~89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로 유아교사의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함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 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 20곳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48명을 대상으로 유아 미디어조절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에서 첫째, 미디어조절력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디어조절력의 부재로 나타난 문제로는 미디어중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부모 상담의 경험이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의 요구에서 개정 누리과정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대부분 가능하다고 보고 있었고, 교육과정 연계는 신체 운동 건강, 생활주제는 생활 도구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교육목표는 미디어 활동을 주어진 상황에 알맞게 적절한 범위에서 실행하고 사용하는 조절능력을 기르고, 교육내용은 미디어 실행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은 문제해결 학습법, 교육평가는 관찰을 통해 유아 발달에 대한 평가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 미디어 조절력 교육을 위한 실제적이고 다양한 자료를 현장에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needs for early childhood media regulation education as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media regulation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survey was conducted on 24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20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B city,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needs for early childhood media reg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wareness of media regulation was shown to be high, media addic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media regulation, and more than half of parents had experienced with parental counseling for this. Next, most of them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the connection with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o be possible with the demand for media control education, with the curriculum link to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nd daily life tools for the daily life topic. The educational goal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and use media activities within an appropriate realm under given situation. The educational content showed a high level of media execution ability.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as a problem-solving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evaluation was an evaluation of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observ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will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and various materials for education of media control skills in childre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준오(Jun-Oh Jo),장인수(In-Su Jang). (2024).유아교사의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3), 875-892

MLA

조준오(Jun-Oh Jo),장인수(In-Su Jang). "유아교사의 유아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3(2024): 875-8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