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 역량 구성 요소

이용수 0

영문명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ies Requir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이강은 이병욱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3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 역량 구성 요소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전문가 심층 면담, 수정 델파이 조사 등을 통해 이론적으로 구안하고,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수업 역량을 실증적으로 구명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적으로 구명된 수업 역량(군)은 교과 교육과정 분석 역량(군), 학습자 맞춤형 교수・학습 설계와 실행 역량(군), 산학 연계형 교수・학습 설계와 실행 역량(군), 디지털 기술의 교과 수업 활용 역량(군), 학습자 맞춤형 평가 관리 역량(군), 교수 활동의 성찰과 변화 대응 역량(군)으로 총 6개의 역량(군)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교과 교육과정 분석 역량(군)은 2개의 하위 역량과 7개의 역량 요소, 학습자 맞춤형 교수․학습 설계와 실행 역량(군)은 4개의 하위 역량과 15개의 역량 요소로 도출되었다. 산학 연계형 교수․학습 설계와 실행 역량(군)은 3개의 하위 역량과 10개의 역량 요소, 디지털 기술의 교과 수업 활용 역량(군)은 3개의 하위 역량과 9개의 역량 요소로 도출되었다. 학습자 맞춤형 평가 관리 역량(군)은 3개의 하위 역량과 8개의 역량 요소, 교수 활동의 성찰과 변화 대응 역량(군)은 2개의 하위 역량과 11개의 역량 요소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습자 맞춤형 교수‧학습과 산학 연계 교수‧학습 설계 및 실행 역량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개별화 학습과 산업 현장과 연계된 실질적 수업 구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수업의 절차적 접근을 넘어 학습 참여 촉진과 고등사고능력 함양 등 학습자 중심 수업 실행 과정을 형성하는 역량들을 도출하였다. 셋째, 디지털 기술을 독립된 도구적 역량이 아닌 교육과정 전반에 통합적으로 반영하여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ies requir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achieve this, theoretical components were first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and modified Delphi surveys. These were then empirically valida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a survey of 600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x major competency clusters were identified: curriculum analysis competencies, learner-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competencies, industry-linke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competencies, digital technology integration competencies, learner-customized assessment management competencies, and teaching reflection and change adaptation competencies. Second, the curriculum analysis competency cluster consists of 2 sub-competencies and 7 competency elements. The learner-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cluster comprises 4 sub-competencies and 15 elements. The industry-linke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cluster includes 3 sub-competencies and 10 elements. The digital technology integration cluster contains 3 sub-competencies and 9 elements. The learner-customized assessment management cluster consists of 3 sub-competencies and 8 elements. Finally, the teaching reflection and change adaptation cluster comprises 2 sub-competencies and 11 elements.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presenting competencies for learner-customized and industry-linked teaching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it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implementing data-driven personalized learning and practical instruction connected to industrial fields. Second, beyond procedural approaches to teaching, it identified competencies that shape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processes, including promoting learning engagement and developing higher-order thinking skills. Third,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digital technology not as an isolated instrumental competency but as integrated throughout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은,이병욱. (2024).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 역량 구성 요소. 직업교육연구, 43 (4), 1-22

MLA

이강은,이병욱.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 역량 구성 요소." 직업교육연구, 43.4(2024):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