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성 탐색: 학습지원대상학생 판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Validity of LDST-S: Exploring the Usefulness of Discriminating Students of Learning Support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김동일 박우람 박예신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21권 제3호, 97~12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습지원대상학생의 판별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창원특별시에서 수집된 85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학습지원대상학생으로 선정된 64명의 실험집단과 성별․학년을 동일하게 대응시킨 대응 통제 집단인 64명의 일반 집단을 모집단에서 무선적으로 선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읽기와 어휘 수준을 측정하는 3가지 수렴 타당도 지표와 LDST-S의 상관을 검토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관패턴이 양호하였다. 또한, LDST-S의 5가지 하위영역별 상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역별 상호상관 패턴과 요인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둘째, 학습지원대상학생과 일반 집단의 LDST-S의 총점 및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학습지원대상학생 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판별분석과 ROC 분석에서도 사회성 영역을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이 학습지원대상학생 집단과 일반 집단을 효과적으로 판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승산비(odds ratio) 분석을 통해 LDST-S에서 학습장애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의 판단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T점수 근처의 점수 구간으로 판별 기준점을 예측해 본 결과, 모든 점수 구간에서 총점의 승산비가 유의하였고 특정 T점수 구간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과 일반 집단의 판별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LDST-S의 전반적인 타당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검사의 판별력이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는 LDST-S의 판별 유용성을 바탕으로 학습지원대상학생을 판별하는 구체적인 3단계 선별 절차를 제안하였고, 나아가 교육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Learning Disability Screening Test(LDST-S) and to assess its usefulness of discriminating students of learning support. Data from 8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llected in Gyeonggi-do were used for the analysis. Among these, 64 students selected a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64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the general population with matching gender and grade,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DST-S and three indicators of convergent validity that measure students’ reading and vocabulary levels were generally satisfactory. Also, the correlations of the five subdomains of the LDST-S and the factor validity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lso satisfactory. Second, a comparison of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the LDST-S between the learning support group and the general group showed that the learning support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Third, discriminant analysis and ROC analysis revealed that all subscale scores, except for the sociality domain, and the total score effectively distinguished between the learning support group and the general group. Fourth, through the odds ratio analysis, the odds ratios of the total score ranges were significant, and the discriminative power between the learning support group and the general group was excellent within certain T-score ranges. Finally, Based on the discriminant usefulness of LDST-S, a specific three-step screening procedure was proposed to identify students of learning support,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using it in the educational field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박우람,박예신. (2024).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성 탐색: 학습지원대상학생 판별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1 (3), 97-124

MLA

김동일,박우람,박예신.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성 탐색: 학습지원대상학생 판별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1.3(2024): 97-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