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학년별 글씨쓰기 유창성 발달 패턴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writing fluency patterns by elementary school grade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강은영 엄선민 김명곤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21권 제3호, 49~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학년별 글씨쓰기 유창성 발달 패턴을 분석하고, 검사 제시 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글씨쓰기 유창성 발달과 쓰기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경기도 A초등학교에서 학년별 1개 학급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총 6개 학급 1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제한된 시간 안에 글씨쓰기 유창성 검사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가~하’ 쓰기와 ‘가~히’ 쓰기의 2가지 형태를 2가지 검사 제시 유형(밑줄로 제시한 평가지와 네모칸을 제시한 평가지)을 다르게 하여 검사로 시행하고 채점 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각각 제한 시간 내 작성한 결과가 학년별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글씨쓰기 유창성 평가 결과 학년에 따라 전체 글자 수, 오류 글자 수, 정확한 글자 수의 유의미한 차이점이 발견되었으며, 중학년에서의 차이가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검사유형에 따른 결과에서도 밑줄로 제시한 평가지가 네모 칸을 제시한 평가지에 비해 학년별 차이를 좀 더 명확하게 나타내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년별 글씨쓰기 유창성 발달 차이에 따른 체계적인 교수가 필요하며, 검사 제시 유형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 및 쓰기 교수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handwriting fluency by grade leve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arise based on the type of test presentation.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offer insights into handwriting fluency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writing education. A total of 124 students from six randomly selected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one class per grade. The students completed handwriting fluency tests within a limited time, using two different types of writing tasks (‘ga-ha’ and ‘ga-hi’) presented in two formats: one using underlined spaces and the other using boxed spaces. Various scoring methods were applied to evaluate wheth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by grade level.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number of characters, number of errors, and number of correct characters across different grade levels, with particularly pronounced differences observed in the middle grades. Second, the test format using underlined spaces revealed more distinct grade-level differences compared to the format with boxed spac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systematic instruction tailored to grade-specific handwriting fluency development is necessary. Additionally,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est presentation formats in assessing handwriting fluency.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writing instruc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른 진로적응력 차이 및 영향 요인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수학기초학습능력, 읽기와 언어능력, 인지처리능력 프로파일 분석
-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성 탐색: 학습지원대상학생 판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