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령 재취업자의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심리학 이론(PWT)의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social class and work volition on decent work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re-employed individuals: application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설 이아라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43권 제4호, 49~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의 심리학 이론(Psychology of Working Theory)에 기반하여 우리나라의 50대 이상 중고령 재취업자들의 괜찮은 일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 및 이들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고령 재취업자들이 지각하는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의 지각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계층,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 삶의 만족 간 관계를 주도적 성격이 조절하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50대 이상의 중고령 재취업자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취업자들이 지각하는 사회계층은 괜찮은 일에 일 자유의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재취업자들의 일 자유의지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괜찮은 일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회계층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 경로 뿐 아니라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을 통한 간접경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고령 재취업자의 주도적 성격이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지는 않았고, 괜찮은 일과 삶의 만족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일의 심리학 모형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는 한편, 재취업자들의 괜찮은 일에 대한 지각과 삶의 만족 수준에 대한 환경적 맥락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일 자유의지를 통한 개입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cent work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re-employed individuals in their 50s or older, based on 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hypothesized the direct impact of perceived social class on work volition, decent work, and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 link between these variables. Also, the research model tested whether 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s the relations among social class, work volition, decent work, and life satisfaction. To do so,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middle-aged and older re-employed individuals, and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erceived social class of re-employed individuals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decent work through work volition. Additionally, work voli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decent work. While the direct path from social class to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paths through work volition and decent work were also significant. Finally, the moderation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 research model was examined. The proactive personality of re-employed individuals did not moderate the influence of social class and work volition on life satisfac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impact of decent work on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 proactive personality group. These results extend the applicability of PWT in Korean population,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environmental context in perceptions of decent work and life satisfaction among re-employed individuals, and suggest potential intervention through work voli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 역량 구성 요소
-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무기력, 진로적응력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 중고령 재취업자의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심리학 이론(PWT)의 적용
- 경력 단계에 따른 장인적 학습과 장인적 성취, 조직지원인식, 일의 의미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한 기혼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 영향요인 분석
- 특성화고 졸업자의 진로이행 유형 결정요인
- 디지털 고용서비스 변화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고용센터 구성원을 대상으로
-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념과 구성영역 타당화
- 학교 밖 교육의 공공성 확장을 위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른 진로적응력 차이 및 영향 요인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수학기초학습능력, 읽기와 언어능력, 인지처리능력 프로파일 분석
-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성 탐색: 학습지원대상학생 판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