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교육의 공공성 확장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for Out-of-Schoo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ublicnes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전이 오춘식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43권 제4호,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 밖 교육에 대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 밖 교육에서 교육 공공성 관점의 확장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행 학교 밖 교육의 공공성을 교육의 기회, 과정, 결과 측면에서의 분석하고, 교육의 3주체인 교사,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학교 밖 교육을 교육 공공성의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의 기회 측면에서, 학교 재적여부에 따라 교육에 대한 접근 기회의 폭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 밖 교육은 교육 과정에서 학습자가 경험하는 내용과 방법의 전문성을 보장할 제도적 장치가 부재하여, 공교육 체제에 편입되지 못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의 결과 측면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학습자가 획득한 학습경험에 대한 인정은 교육을 제공하는 주체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 공공성 강화를 위해 학교교육과 학교 밖 교육에 대한 종래의 이분법적 시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으며, 교육하는 주체보다는 학습하는 주체를 중심에 두고 이들이 언제 어디에서든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제도적 유연함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re-conceptualization of out-of-schoo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ublicity, aiming to expand the discourse on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 beyond traditional school settings and examine the differing experiences of out-of-school education among various student groups. The research analyzed educational equality, curriculum universality, and outcome integration by comparing the out-of-school education experiences of school-attending students and non-attending adolescents, and evaluated the implications of expanding educational boundaries beyond schools. Results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new frameworks to support edu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school, found systematic differences in out-of-school education experiences as public education boundaries extended,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ranscending the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educa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expanding educational publicity requires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separation of school and out-of-school education, and highlight the need for institutional flexibility to facilitate seamless learner transitions between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학교 밖 교육과 교육 공공성
Ⅲ. 교육 공공성의 측면에서 바라본 학교 밖 교육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VI.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수업 역량 구성 요소
-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무기력, 진로적응력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 중고령 재취업자의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심리학 이론(PWT)의 적용
- 경력 단계에 따른 장인적 학습과 장인적 성취, 조직지원인식, 일의 의미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한 기혼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 영향요인 분석
- 특성화고 졸업자의 진로이행 유형 결정요인
- 디지털 고용서비스 변화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고용센터 구성원을 대상으로
-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념과 구성영역 타당화
- 학교 밖 교육의 공공성 확장을 위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른 진로적응력 차이 및 영향 요인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수학기초학습능력, 읽기와 언어능력, 인지처리능력 프로파일 분석
-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성 탐색: 학습지원대상학생 판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