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념과 구성영역 타당화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vocational subject teachers’ professionalism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김남희 이수정 박미희 이수현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3권 제4호, 23~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교육 환경을 고려하여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념을 재정의하고 전문성을 이루는 주요 구성영역과 하위영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토대로 전문성 개념과 구성영역 및 하위영역(안)을 설계한 후 31명의 전문가 패널 집단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을 구성하는 영역은 크게 직업적 전문성, 교육학적 전문성, 자율성, 책임감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교육과 직업 분야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갖춰야 하는 이중 전문가라는 전문교과 교사의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자 전문직으로서 교사라는 직업이 갖는 자율성과 책임감의 특징도 함께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직업적 전문성과 교육학적 전문성에 포함될 수 있는 하위영역으로 총 15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직업적 전문성에는 1. 전공 분야 이론 지식, 2. 전공 분야 실무 지식과 기술, 3. 사회 환경과 산업현장 변화 대응, 4. 디지털 전환과 직무 변화 대응, 5. 산업현장과 유기적인 협력, 6. 교육과정 설계와 재구성, 7. 학교 교육 내용과 산업체 학습 경험 연계, 8. 전공 분야 역량과 교육 내용 연계가 도출되었다. 교육학적 전문성에는 9. 보편적 역량과 교육 내용 연계, 10. 미래 준비와 성장에 대한 조력, 11. 학습자 이해와 주도성 발현 촉진, 12. 교수․학습 방법 설계와 실천, 13. 맞춤형 평가와 피드백 제공, 14.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 15. 성찰적 교수활동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vocational subject teachers' professionalism,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o this en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components, and sub-constructs of professionalism were designed, followed by a Delphi survey conducted with a panel of 31 experts over three round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s that make up the professionalism of vocational teachers were identified as occupational expertise, pedagogical expertis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Second, a total of 15 sub-consturcts were identified that can be categorized under occupational and pedagogical expertise. For occupational expertise, the following sub-areas were identified: (1) theoretical knowledge in the major field, (2)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major field, (3) responsiveness to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industrial fields, (4) adaptability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job changes, (5) collaboration with the industrial field, (6) curriculum design and restructuring, (7) linking school education with industry learning experiences, and (8) connecting competencies in the major field with educational content. For pedagogical expertise, the sub-areas identified were: (9) linking universal competencies with educational content, (10) supporting future preparedness and growth, (11) promoting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fostering student autonomy, (12) desig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13) providing tailored assessment and feedback, (14)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and (15) engaging in reflective teaching practic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vocational subject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희,이수정,박미희,이수현. (2024).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념과 구성영역 타당화. 직업교육연구, 43 (4), 23-48

MLA

김남희,이수정,박미희,이수현.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념과 구성영역 타당화." 직업교육연구, 43.4(2024): 2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