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를 활용한 e-PBL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327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PBL Program Using Metavers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영재(Young Jae Jo) 조용개(Young Gae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3호, 791~81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e-PB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DDIE 설계모형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첫째,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문헌 및 사례분석을 실시한 후 범주화 과정을 통해 설계원리와 지원구조를 도출하고, 설계원리를 기반으로 초안을 완성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전문가 FGI를 통해 개선·보완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그램 최종안을 완성한 후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최종안을 수업에 적용한 후 만족도 설문과 개방형 설문 항목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분석 방법의 3차 범주화 과정을 통해 5가지 설계원리와 지원구조를 도출하고, 이를 종합하여 프로그램 초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전문가 FGI를 실시하여 개선·보완점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최종안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CVI) 검사와 평정자 간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타당도(.88)와 신뢰도(.76)를 확보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최종안을 수업에 적용한 후 사전·사후 만족도를 실시하였고, 사전 만족도(4.57)에 비해 사후 만족도(4.63)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개방된 설문문항에 대한 5명의 학생 개별면담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에서 도움된 점, 어려웠던 점, 개선점이나 바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가상공간에서의 협업과 문제해결학습을 높이기 위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e-PB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교육현장에 필요한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과 수업개발 및 운영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PBL program using Metaverse and apply it to classe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according to the ADDIE design model procedure. First, after conducting literature and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method, design principles and support structures were derived through a categorization process. And a draft was completed based on the design principles. Second, improvements and supplement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FGI on the draft program. After completing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FGI,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ird, after applying the final draft to the class, a satisfaction survey and an interview regarding open-ended survey item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esign principles and support structures were derived through the third categorization process of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 draft program was derived by combining them. Second, expert FGI was conducted on the draft program to identify points of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and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was completed by reflecting these points. Third, validity (.88) and reliability (.76) were secured by conducting an expert validation (CVI) test and an inter-rater reliability test on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Fourth, after applying the final plan of the program to the class, pre- and post-satisfaction was condu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post-satisfaction (4.63) improved compared to pre-satisfaction (4.57). As a result of conducting individual interviews with five students in response to open survey questions, it was confirmed what was helpful, what was difficult, and what improvements or wishes were made in the program.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 e-PBL program using Metaverse for collaboration and problem-solving learning in virtual space required in the digital era,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pplying it to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able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taverse needed in future educational fields and for professo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재(Young Jae Jo),조용개(Young Gae Cho). (2024).메타버스를 활용한 e-PBL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3), 791-814

MLA

조영재(Young Jae Jo),조용개(Young Gae Cho). "메타버스를 활용한 e-PBL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3(2024): 791-8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