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

이용수 122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elated Stressors and Career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Voli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변유나 이수정 연규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653~66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의 두 하위요인인 의지와 제약의 매개효과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9~28세의 대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국내 코로나 5차 대유행 시기인 2022년 1월 17일부터 1월 20일에 설문조사 업체인 인바이트를 통해 온라인 설문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PROCESS MACRO 3.5의 Model 4를 사용하여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Model 5를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 간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의 하위요인인 의지와 제약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를 제약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조절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의 대학생들은 코로나19 스트레서를 많이 경험할수록 제약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진로불안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스트레서가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장면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work volition, volition and constrai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ors and career anxiety. Methods 288 college students aged 19 to 28, who were enrolled in a 4-year university, were surveyed online through the survey company INVIGHT from January 17th to January 20th, 2022, during the fifth wave of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arallel multiple mediated effect was examined using Model 4 of PROCESS MACRO 3.5,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Model 5. Results First, the results confirmed a parallel multiple mediated effect of the sub-factors of work volition, volition and constrai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elated stressors and career anxiety, indicating that constraints mediated the relationship.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volit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elated stressors and career anxiety. Conclusions As Korean college students experience more COVID-19 related stressors, their perception of constraints increases, leading to higher levels of career anxiety. Additionally, higher level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tensify the impact of COVID-19 related stressors on career anxiety. Based on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e current finding in counseling practic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유나,이수정,연규진. (2023).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7), 653-667

MLA

변유나,이수정,연규진.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2023): 653-6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