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온⋅오프라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이용수 101
- 영문명
- The Mediation Effect of Online⋅Offline Friend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Victim-Offender Experi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진숙 조규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377~3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온⋅오프라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H소재에 재학 중인 중학생 262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
지를 19부를 제외한 243명의 자료를 SPSS Ver. 27.0을 활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을 실시하였고, 온⋅오프라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의 간접
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후,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 온⋅오프라인 친구관계, 사이버불링 경험 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온⋅오프라인
친구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
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 관계에서 온라인 친구관계는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 관계에서 오프라인 친구관계는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가해 경험 관
계에서 온라인 친구관계는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가해 경험 관계에서 오프라인 친구관
계는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학업스트레스를 줄이는 것과 더불어 건강한 온⋅오프라인 친구관계를 향
상시킬 수 있는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online⋅offline friend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victim-offender experi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62 students in middle school in Gyeongsangnam-do and
the data of 243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7.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online⋅offline friendship. In addition, the Sobel Test,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the parameters.
Result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online⋅offline friendship, and cyberbullying victim⋅
offender experienc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online⋅offline friendshi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victim⋅offender experienc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online friendship was verifi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offline
friendship was verified.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offender experience,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online friendship was verified.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offender experience,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offline friendship was verified.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healthy online⋅offline friendship
as well as reduce academic stress in order to minimize the cyberbullying cyberbullying victim⋅offender
experien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 그릿, 학업무기력의 종단적 매개 관계
- 2022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 무한다중상 형성 원리 이해를 위한 지오지브라 활용 융합 교육 자료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 리터러시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방안 탐색: 예비중등교사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 내 국악 관련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Erratum]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문제중심학습(PBL) 참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함양을 위한 구성주의적 수업 사례연구
- 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 공학계열 대학생의 미래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목민심서에 나타난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 탐색
- 학습자의 비판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고전의 현대적 수용 연구: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와 현대의 <데스데모나>
-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연구
- 음악 교과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분석
- 한국과 중국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과 유아 발달기대 비교연구
- 선메디 VR자연명상 프로그램이 팬데믹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긍정적 사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 걱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미용 교육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 일의 의미 매개효과
- 온종일돌봄체계에 대한 고찰: G시 온종일돌봄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 델파이 분석을 통한 A대학의 유연한 학기 제도 운영 방안 탐색 연구
- 중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한 대학 교수자 역량 모델 탐색
- The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Social Welfare Major
- 대학생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간호대학생 임상 실습 경험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RCS Model-Applied History Clas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story English Subjects for Chinese History Major University Students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어린이집의 조직혁신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고교 연계 고등학생 대상 찾아가는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 직장인의 성장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주도성, 학습전략 간 관계
-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
-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취업 및 직무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 방안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전공특성별 진로준비행동 연구 동향 분석: 간호학과와 체육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관련 질적연구 동향
- 탐구실험 교육봉사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 스마트폰 활동 기반 중학교 이차함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수학 학습을 위한 질의응답 챗봇의 설계와 활용
-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자기 실행도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목소리
- MZ세대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K-MOOC 운영에 관한 대학 교원 인식 실태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온⋅오프라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 관계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원장 칭찬리더십의 매개효과
-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에서 학생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강사 전문성 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 간의 관계: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 영⋅유아 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과 직무환경 불만족,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교육방법 선호도에 따른 온라인 학습환경과 학습경험 차이 분석
-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7호 목차
- 대학생의 다전공 인식과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향후 운영 방안 연구
-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교원양성기관의 독도교육 방안 연구
-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