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다전공 인식과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향후 운영 방안 연구
이용수 241
- 영문명
- A Study on the Future Oper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major Perception, Improvement and Requirements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Jinok Susanna Kim 조혜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17~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다전공 인식과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향후 안정적인 다전공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지 다전공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A대학교 재학생 1,218명이며 SPSS 23.0 프로그램으로 차이검증을
실하였고, 개방형 질문에 응답한 232명을 대상으로 구글코랩을 기반으로 KoNLPy을 활용한 형태소 분석 과정을 거친 후 빈도분석
및 워드클라우드를 수행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다전공 인식과 다전공 유형 구분 정도의 차이검증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1학년에 비해 2학년,
3학년, 4학년과 2학년에 비해 3학년과 4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단과대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Scheffé의
사후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선호하는 다전공의 차이검증 결과, 여학생은 복수전공, 남학생
은 부전공과 융합전공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문대학은 복수전공, 공과대
학과 IT대학은 부전공, IT대학은 융합전공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전공 개선사항의 차이검증 결과 여학생은 ‘학
과별 선발 인원 조정’과 ‘과목별 분반 편성 확대’, ‘학과별 특별활동 참여 기회’의 의견이 높았고, 남학생은 ‘학습지원(교수, 멘토링,
조교)강화’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1학년은 2학년, 3학년, 4학년에 비해 ‘학과별 선발 인원 조정’과 ‘과목별 분반 편성 확대’, ‘학습지
원(교수, 멘토링, 조교)강화’, ‘학과별 특별활동 참여 기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인문대학은 ‘학과별 선발 인원 조정’, IT대학은
‘과목별 분반 편성 확대’와 ‘학습지원(교수, 멘토링, 조교) 강화’, 공과대학은 ‘학과별 특별활동 참여 기회’의 개선사항 비율이 높게 나
타났다. 넷째, 다전공 운영을 위한 요구사항의 형태소 분석 결과, 1순위 ‘전공’, 2순위 ‘학생’, 3순위 ‘학점’, 4순위 ‘과목’, 5순위 ‘평균’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다전공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
으로 재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다전공 맞춤형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future strategie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a multi-major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perceptions, improvements, and requirements related to multi-major.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18 students at A University, which has a multi-major system in Seoul,
and the difference was verified with the SPSS 23.0 program. For 232 people who responded to open questions,
morpholog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KoNLPy based on Google Colab and then frequency analysis and
Wordcloud were conducted.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multi-major perception
and multi-major type classification, women were higher than men, and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rs were
higher than first graders, and third and fourth graders were higher then second graders. In the case of the colle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Scheffé's post-tes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multi-majors, female
students prefer double majors and male students prefer minor and convergence majo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s. College of humanities preferred double majors, engineering and IT colleges preferred
minor majors, and IT preferred convergence major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multi-
major improvements, female students had high opinions on adjustment of the number of selected people by
department,expansion of division by subject, and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pecial activities by department.,
and male students had high opinions on ‘strengthening academic support(professors, mentoring, teaching assistants).
Compared to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rs, first graders had a higher rate of adjustment of the number
of selected students by department,expansion of division by subject, strengthening academic support(professors,
mentoring, teaching assistants), and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pecial activities by department.
College of humanities had a high ratio of improvements in adjustment of the number of selected people by department,
IT college expansion of division by subject, strengthening academic support(professors, mentoring,
teaching assistants)., college of engineering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pecial activities by department.
Fourth, as a result of the morphology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for multi-major operation, it was ranked first
major, second student, third credit, fourth subject, and fifth averag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the multi-major curriculum.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 way for multi-
major customized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 그릿, 학업무기력의 종단적 매개 관계
- 2022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 무한다중상 형성 원리 이해를 위한 지오지브라 활용 융합 교육 자료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 리터러시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방안 탐색: 예비중등교사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 내 국악 관련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Erratum]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문제중심학습(PBL) 참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함양을 위한 구성주의적 수업 사례연구
- 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 공학계열 대학생의 미래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목민심서에 나타난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 탐색
- 학습자의 비판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고전의 현대적 수용 연구: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와 현대의 <데스데모나>
-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연구
- 음악 교과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분석
- 한국과 중국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과 유아 발달기대 비교연구
- 선메디 VR자연명상 프로그램이 팬데믹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긍정적 사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 걱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미용 교육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 일의 의미 매개효과
- 온종일돌봄체계에 대한 고찰: G시 온종일돌봄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 델파이 분석을 통한 A대학의 유연한 학기 제도 운영 방안 탐색 연구
- 중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한 대학 교수자 역량 모델 탐색
- The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Social Welfare Major
- 대학생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간호대학생 임상 실습 경험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RCS Model-Applied History Clas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story English Subjects for Chinese History Major University Students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어린이집의 조직혁신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고교 연계 고등학생 대상 찾아가는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 직장인의 성장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주도성, 학습전략 간 관계
-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
-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취업 및 직무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 방안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전공특성별 진로준비행동 연구 동향 분석: 간호학과와 체육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관련 질적연구 동향
- 탐구실험 교육봉사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 스마트폰 활동 기반 중학교 이차함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수학 학습을 위한 질의응답 챗봇의 설계와 활용
-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자기 실행도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목소리
- MZ세대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K-MOOC 운영에 관한 대학 교원 인식 실태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온⋅오프라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 관계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원장 칭찬리더십의 매개효과
-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에서 학생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강사 전문성 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 간의 관계: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 영⋅유아 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과 직무환경 불만족,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교육방법 선호도에 따른 온라인 학습환경과 학습경험 차이 분석
-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7호 목차
- 대학생의 다전공 인식과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향후 운영 방안 연구
-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교원양성기관의 독도교육 방안 연구
-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