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307
- 영문명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verse on English Curriculum for Generation MZ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인수 유지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425~4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MZ세대 학습자를 위한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메타버스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과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 2025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교육부,
2021.8.22.),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2021.9.8.) 자료를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틀을 활용하여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
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 윤리와 사회 정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MZ세대를 위한 영어과 수업의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은 규범적 차원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영어과 수업에서 메타
버스를 활용하는데 있어 제한점은 교육적 메타버스 플랫폼 부재, 메타버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컨텐츠 부족, 사이버 윤리 및
정보활용격차 문제 등이 거론되었다. 이를 위한 제도적, 행정적 지원방안으로는 구조적, 기술적 차원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결론 메타버스는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총괄적인 핵심역량인 ‘영어 의사소통능력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더불어
MZ세대 학습자 특성에 맞는 영어학습이 가능하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타버스의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하여 교육부와 한
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청의 디지털교육관련 부처, 교육과정⋅교과서 본부, ‘디지털⋅AI미래교육과’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플랫
폼 및 콘텐츠 지원, 디지털 리터러시 및 사이버 윤리 교육, 고교학점제와 디지털 리터리시 역량 함양에 부합하는 교육학습방안 개발
등의 도움을 줄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verse on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for generation MZ learners.
Methods For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raft, the English department revised curriculum,
the phased implementation plan for the full application of the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Ministry
of Education, 2021.8. 22.) and the National Education Council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President(2021.9.8.)
were analyzed in th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tional, technical, and ethical and social justice dimension,
based on the four-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of Copper at al.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sibility of using metaverse in English classes for the MZ generation was
found in the normative dimension. Limitations in using metaverse in English classes were the absence of educational
metaverse platforms, lack of educational content available in metaverse, and cyber ethic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gaps.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tackle these issu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and
technical dimension.
Conclusions Metavers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s the overall
core competency of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enables
English learning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learners. The study suggests The Minstry of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o give support and help in
developing educational metaverse platforms and contents, cyber ethics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as well as
in devising metaverse-mediated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Digital
Literac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 그릿, 학업무기력의 종단적 매개 관계
- 2022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 무한다중상 형성 원리 이해를 위한 지오지브라 활용 융합 교육 자료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 리터러시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방안 탐색: 예비중등교사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 내 국악 관련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Erratum]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문제중심학습(PBL) 참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함양을 위한 구성주의적 수업 사례연구
- 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 공학계열 대학생의 미래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목민심서에 나타난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 탐색
- 학습자의 비판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고전의 현대적 수용 연구: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와 현대의 <데스데모나>
-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연구
- 음악 교과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분석
- 한국과 중국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과 유아 발달기대 비교연구
- 선메디 VR자연명상 프로그램이 팬데믹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긍정적 사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 걱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미용 교육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 일의 의미 매개효과
- 온종일돌봄체계에 대한 고찰: G시 온종일돌봄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 델파이 분석을 통한 A대학의 유연한 학기 제도 운영 방안 탐색 연구
- 중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한 대학 교수자 역량 모델 탐색
- The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Social Welfare Major
- 대학생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간호대학생 임상 실습 경험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RCS Model-Applied History Clas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story English Subjects for Chinese History Major University Students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어린이집의 조직혁신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고교 연계 고등학생 대상 찾아가는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 직장인의 성장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주도성, 학습전략 간 관계
-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
-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취업 및 직무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 방안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전공특성별 진로준비행동 연구 동향 분석: 간호학과와 체육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관련 질적연구 동향
- 탐구실험 교육봉사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 스마트폰 활동 기반 중학교 이차함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수학 학습을 위한 질의응답 챗봇의 설계와 활용
-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자기 실행도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목소리
- MZ세대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K-MOOC 운영에 관한 대학 교원 인식 실태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온⋅오프라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 관계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원장 칭찬리더십의 매개효과
-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에서 학생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강사 전문성 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 간의 관계: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 영⋅유아 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과 직무환경 불만족,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교육방법 선호도에 따른 온라인 학습환경과 학습경험 차이 분석
-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7호 목차
- 대학생의 다전공 인식과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향후 운영 방안 연구
-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교원양성기관의 독도교육 방안 연구
-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