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델파이 분석을 통한 A대학의 유연한 학기 제도 운영 방안 탐색 연구
이용수 302
- 영문명
- A study to explore the operation of flexible academic calendar at A University: Focused on Delphi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시현 우선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147~1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사회의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대학의 학기 관련 유연화가 추진됨에 따라 대학의 본격적인 도입에 앞서 유연한
학기 관련 제도의 운영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방법 유연한 학사제도 정책 관련 선행연구와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뒤, 서울에 위치한 대규모 연구 중심 대학인 A대학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여 학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개방형, 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에 대한 5점
척도 조사 및 기타 의견 조사로 진행되었다.
결과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연한 학기 관련 제도의 목적은 교육의 질 제고를 통한 학습 효율 증가에 있다.
둘째, 유연한 학기 관련 제도 운영의 교육적 성과는 학생 측면에서는 학습과 체험 등 다양한 활동 기회 부여, 교원의 측면에서는 연구/
수업에 집중하는 시간 확보, 단과대학 측면에서는 단과대학별, 학과별 특성에 적합한 학사 운영, 대학 기관 측면에서는 산학협력 가
능성 확대이다. 셋째, 유연한 학기 관련 제도 운영상의 쟁점은 규정, 적용범위, 수업료 등에 걸쳐 살펴볼 수 있다. 넷째, 유연한 학기
관련 제도 운영에 따른 학사 및 행정 절차의 쟁점은 학점 인정 및 졸업, 교강사 참여, 학사일정 등이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유연한 학기 관련 제도의 목적은 학기의 시간적 유연성을 활용하여 학
생의 교육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효율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둘째, 학생, 교수, 단과대학별로 유연한 학
기 관련 제도 운영의 교육적 성과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달성을 지원하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연한 학기제도의 도입
에 앞서 제도가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한 본 제도 관련 규정 정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사 일정의 유연성을 발휘하는 것은 현재
시행 중인 학기의 주기와 혼선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제도의 확대에 있어서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purpos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operating on a flexible
academic calendar.
Methods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policy of flexible academic calendars for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background, purpose, and operation of such policies. Also, we investiga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semester system operation. In addition, we used Delphi survey targeting professors with experience in the field
to explore operational direc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flexible academic system wa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 the educational outcomes
of operating a flexible academic calendar were different from students, faculty, each department and college.
Third, issu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flexible academic calendar were various with regulations, the scope
of expansion, and tuition fees. Fourth, academic and administrative issues related to the flexible semester system
included credit recognition and graduation, faculty participation, and academic calendar.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urpose of a
flexible academic calendar should focus on enriching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outcomes for students, professors,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and to find ways to
support them to achieve their goals. Third,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semester system,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system to ensure that the system operates properly. Finally, flexibility in
the academic calendar can be conflicting with the current semester system, so expanding the system should be
cautious and take its own tim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 그릿, 학업무기력의 종단적 매개 관계
- 2022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 무한다중상 형성 원리 이해를 위한 지오지브라 활용 융합 교육 자료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 리터러시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방안 탐색: 예비중등교사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 내 국악 관련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Erratum]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문제중심학습(PBL) 참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함양을 위한 구성주의적 수업 사례연구
- 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 공학계열 대학생의 미래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목민심서에 나타난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 탐색
- 학습자의 비판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고전의 현대적 수용 연구: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와 현대의 <데스데모나>
-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연구
- 음악 교과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분석
- 한국과 중국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과 유아 발달기대 비교연구
- 선메디 VR자연명상 프로그램이 팬데믹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긍정적 사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사회적 걱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미용 교육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 일의 의미 매개효과
- 온종일돌봄체계에 대한 고찰: G시 온종일돌봄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 델파이 분석을 통한 A대학의 유연한 학기 제도 운영 방안 탐색 연구
- 중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한 대학 교수자 역량 모델 탐색
- The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Social Welfare Major
- 대학생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간호대학생 임상 실습 경험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RCS Model-Applied History Clas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story English Subjects for Chinese History Major University Students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어린이집의 조직혁신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고교 연계 고등학생 대상 찾아가는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 직장인의 성장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주도성, 학습전략 간 관계
-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서와 진로불안의 관계
-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취업 및 직무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 방안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전공특성별 진로준비행동 연구 동향 분석: 간호학과와 체육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관련 질적연구 동향
- 탐구실험 교육봉사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 스마트폰 활동 기반 중학교 이차함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수학 학습을 위한 질의응답 챗봇의 설계와 활용
-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자기 실행도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목소리
- MZ세대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K-MOOC 운영에 관한 대학 교원 인식 실태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와 사이버불링 피⋅가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온⋅오프라인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 관계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원장 칭찬리더십의 매개효과
-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에서 학생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강사 전문성 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 간의 관계: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 영⋅유아 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과 직무환경 불만족,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교육방법 선호도에 따른 온라인 학습환경과 학습경험 차이 분석
-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7호 목차
- 대학생의 다전공 인식과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향후 운영 방안 연구
-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교원양성기관의 독도교육 방안 연구
-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문제연구 제93집 목차
- 교사의 학교 정치참여교육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코로나19를 경험한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와 전이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