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218

영문명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범수 박윤서 변가나 안리경 김대권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595~6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15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과 관련된 개별 연구물에서 하브루타 수업 경험의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범주화하고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일반화된 상황모형을 창안해 성공적인 하브루타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질적 메타분석을 위해 먼저 체계적 절차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개별 사례연구물을 검토하여 최종 34편의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물을 질적 메타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 및 해석하여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내재된 핵심 속성이 무엇인지 밝히고, 핵심 속성 간의 공통 특징에 따라 속성을 범주화하여 하브루타 수업 경험을 도식화한 상황모형을 창안하였다. 결과 학생은 하브루타 수업에 대해 재미있고 부담이 적다는 긍정적인 수업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하브루타 수업을 통해 높은 적극성과 학습 동기의 바람직한 수업 태도를 함양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 표현력, 대인관계 능력, 창의력, 사고력, 메타인지 능력의 역량을 증진하였다. 반면 하브루타 수업이 시끄럽고, 시간이 부족하며, 낯설고 어렵다는 부정적인 인식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생들은 잡담에 대한 통제나 질문 만들기 교육이 추가로 필요하며, 토론 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다양한 조 편성과 개인 성향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는 하브루타 수업을 통해 수업 인식, 수업 태도, 학습 결과, 역량 향상의 측면에서 학생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였으나 동시에 학습자 수준과 관계, 태도에 따른 어려움도 경험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운영과 전문성 영역에서 어려움과 한계를 느끼고 환경적 제약을 경험하였다. 결론 하브루타 수업은 학생의 다양한 역량 증진에 기여하였다. 둘째, 학생은 하브루타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는 ‘어려움’이 가장 두드러졌다. 넷째,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이 하브루타 수업의 효과적 진행을 방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내실 있고 성공적인 하브루타 수업을 위해서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 변화, 하브루타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 운영, 학습 공동체 활성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a meta-synthesis approach. The objectives include identifying and extracting their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developing a situation model to understand its dynamics. By synthesizing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lements that contribute to effective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selecting 34 studies to analyze the Havruta experiences. The features of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were extracted from each study and categorized based on their thematic similarities and relationships. A situation model of Havruta learning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present the synthesized data. Results The analysis of the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identifi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reported by students.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categories: awareness of learning, learning attitudes, learning outcomes, and development of competencies. Students positively acknowledge that Havruta learning is enjoyable and less burdensome, and fosters active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hey also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including communication, speech,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On the downside, students perceive Havruta learning as noisy and unfamiliar, expressing the need for extended discussion time, more comprehensive guidance on formulating questions, and improved control of interactions. Diverse grouping methods and personalized approaches are also proposed. Additionally, teachers’ Havruta experience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teachers, students, and environment. Teachers notic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competencies and learning outcomes. However, challenges arising from student diversity and classroom limitations are acknowledged, along with the intricacies of manag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own expertise. Conclusions First, Havruta learning has been found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diverse competencies among students. Second, the analysis underscores the affirmative impact of Havruta learning on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learning. Third, ‘difficulties’ was identified as a primary concern among negative aspects of Havruta learning. Lastly, existing educational paradigm impeded the full potential of Havruta learning. To ensure successful Havruta learning, a transformative shift in educational culture and the cultivation of suppor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imperati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범수,박윤서,변가나,안리경,김대권. (2023).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7), 595-621

MLA

김범수,박윤서,변가나,안리경,김대권.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2023): 595-6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