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한 대학 교수자 역량 모델 탐색

이용수 64

영문명
Exploring a Synchronous Hybrid Learning Competency Model for Instructors in Colleg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형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227~24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15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있어서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의 최적화된 운영이 이루어지기 위해 교수자가 어떠한 역량을 지니는지 에 대한 역량 모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역량 모델에 대해 교수자가 인식한 교육 요구도는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잠정적 역량 모델을 도출한 후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수정 및 보완, 합의 과정을 거친 정교화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구성된 역량 모델에 대해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한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해 대학 교수자가 지녀야 하는 역량 모델은 크게 기술 점검 및 환경 설계, 그룹 구성 및 참여 촉진, 하이브리드 수업 활동 설계 및 실행, 교수학습 지원 및 관리, 학습 및 활동 평가의 역량 군에 포함되는 총 30개의 세부 역량으로 구성 된다. 이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세부 역량에 있어서 학습자의 기술적 능숙도 점검, 실시간 도구를 활용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 촉진 활동 설계, 협업문제 개발 및 학습자 상호 연계 활동 설계, 학습 목표를 고려한 평가 전략 설계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서 활발하게 적용될 가능성을 지닌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해 교수자가 어떠한 지식이나 기술, 태도 를 지녀야 하는지에 대한 역량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은 테크놀로지 활용의 복 잡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 간의 동시적 연계 활동에 대한 어포던스를 지닌다. 또한, 학습 활동에 대한 접근, 기술적 고려뿐만 아니라 학습 환경에 대한 설계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ompetency model for instructors to optimally operate synchronous hybri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lso, it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recognized by instructors for competencie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elaboration including revision or supplementation and consensus, two Delphi technique were carried out. The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through Borich'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Results The competency model of synchonous hybrid learning in college consists of five competency clusters including thirty specific competencies as follows : ‘confiming technology and designing environment’, ‘composing group and promoting participati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hybrid class activity’,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management’, and ‘learning and activity assessment’. As results of analyzing educational needs for specific competencies, checking the technical proficiency of learners, designing activities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using synchronous tools, developing collaboration problems and designing learners’ inter- connection activities, and designing assessment strategies considering learning goals need to be considered as priority.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constructs the competence of what kind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structors should have for synchronous hybrid learning that has the potential to be actively applied in higher education context. It was confirmed that synchronous hybrid learning has an affordance for the complexity of utilizing technology and simultaneous integra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based on technology/tool. Also, not only learning activities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but also th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important aspec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형종. (2023).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한 대학 교수자 역량 모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7), 227-249

MLA

한형종. "실시간 하이브리드 교육을 위한 대학 교수자 역량 모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2023): 227-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