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이용수 274

영문명
Analysis of digital space innovation cases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서희전 김동심 박주연 박남수 박창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359~37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의 미래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디지털 공간에서의 특징을 확인하고 실제 사례들을 분석하여 디지털 공 간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의 공간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 디지털 공간혁신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유아교육기관의 우수실천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한 디지털 공간혁신 분석 프레임워크는 연결성, 창의성, 자율성, 안전성, 심미성의 5가지 요소로 구성 된다.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국립유치원 1개, 사립유치원 3개, 민간어린이집 1개, 총 5개 기관을 선정하였고, 디지털 공간의 개발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기관 방문을 통한 관찰 및 사진자료와 기관에서 제공한 디지털 교육 및 공간혁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교육기관별로 각 기관의 교육목적과 비전에 따른 유아 디지털 공간의 구성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5가지 사례는 생태놀이 중심의 스마트어린이집 구축 사례, AI기반 테크놀로지 활용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공간 구성 사례, 빛과 디지털을 통합하여 교실과 디지털 매체 간의 융합공간 구성 사례, 유아의 창의성 및 주도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환경 사례, AI 놀이⋅스마트 놀이⋅온라인 놀이 의 유연한 연결 환경의 구성 사례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기관별 디지털 공간 특징을 연결성, 창의성, 자율성, 안전성, 심미성에 근거하 여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사례분석 결과를 근거하여 디지털 공간 구성의 방향으로 ‘경계를 벗어나 확장하기’, ‘놀이 속에 디지털이 함께 가기’, ‘유아의 감성과 사회성을 높이기’의 세 가지 방향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디지털 공간 설계 과정에서의 교사 참여의 중요성, 유아들을 위한 안전하고 우수한 디지털 기기와 콘텐츠에 대한 품질 검증,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역량 함양, 유아를 중심으로 한 교육공동체의 운영 등의 제언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patial innovation by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and analyzing actual cases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digital spatial innov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erived and the best practice cas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e digital space innovation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through previous research consists of five elements: connectivity, creativity, autonomy, safety, and aesthetics. One national kindergarten, three private kindergartens, and one private daycare center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exper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ors and teacher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status of digital spaces. In addition, observations and photographic data through institutional visits and digital education and space innovation data provided by institu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pace for young children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urpose and vision of each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ases are as follows: construction of a smart daycare center centered on ecological play, space construction for Nuri courses using AI-based technology, convergence space between classrooms and digital media by integrating light and digital, digital environments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directedness, and flexible connection environment of AI play⋅smart play⋅online play.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were described based on connectivity, creativity, autonomy, safety, and aesthetic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ree directions were deduced for establishing a digital space: ‘extending beyond the boundaries’, ‘going digital together in play’, and ‘enhancing children's sensibility and sociality’. The importance of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igital space design, quality verification of safe and excellent digital devices and contents for young children,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ducation community building with a focus on young children were sugges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희전,김동심,박주연,박남수,박창현. (2023).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7), 359-376

MLA

서희전,김동심,박주연,박남수,박창현. "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2023): 359-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