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제시

이용수 674

영문명
Analysis on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5th to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아라 남영숙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897~91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시안)과 교과별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에 제시된 내용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내용과 관련 내용 요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개발 방향 도출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과 각론의 교과별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에 서술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내용 분석을 위해서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내용과 관련 내용 요소를 선정하여 준거로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에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데, 사회적·환경적·경제적 관점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관점별 분석결과 사회적 관점의 9개의 내용 영역 중 7개가, 환경적 관점은 9개의 내용 영역 중 4개, 경제적 관점은 4개의 내용 영역 중 1개만이 반영되어 있다. 이로써 관점별로 균형있는 보완이 필요한데, 특히 경제적 관점에서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 중 5~6학년 교과별 목표에는 수학을 제외한 모든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포함한 대부분의 목표는 사회적 관점의 내용영역에 치중되어 있다. 성취기준은 목표, 내용 체계보다도 많은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내용과 내용 요소를 담고 있다. 셋째, 2022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서 개발 시에 지속가능발전교육 세 가지 관점을 골고루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관점 내에서도 다양한 내용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모든 교과 과목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결론 불확실한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요구가 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raft) and its alignment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extbook development. Methods The research examines the subject-specific objectives,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core content and elements of ESD. The study's objective is implemented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draft), subject-specific objectives,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subject, while selecting relevant elements of ES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Firstly,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draft) is evaluated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ncompassi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spectives of ESD. The analysis reveals that seven out of the nine social perspectives are reflected, while only four out of the nine environmental perspectives and one out of the four economic perspectives are included.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balanced approach across all perspectives. Secondly, all subjects except mathematics incorporate elements of ESD in their subject-specific objectives for fifth and sixth grades. However, apart from some environmental perspectives found in ethics, society, and practical arts, the objectives predominantly align with the social perspective. Achievement standards demonstrate a higher inclusion of core contents and content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ompared to objectives and content systems. Lastly, textbook development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ensure equal representation of all three perspectives of ESD, with diverse content elements included within each perspective. It is crucial to incorporate ESD into all subjects. Conclusions The study emphasizes the growing demand for ESD to prepare for future societies. The findings serve as fundamental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ESD in textbook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desirable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아라,남영숙. (2023).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제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5), 897-912

MLA

고아라,남영숙.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제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5(2023): 897-9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