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7
- 영문명
- The Effect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Capabilit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o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521~53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교육을 독립변수로 대학생의 창업역량을 결과변수로 상정하고, 대학의 창업교육이 교·강사 만족도와 창업교육 경험을 매개로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기업가정신재단에서 수행하는 2022년도 KDB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던 14개 대학의 수강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297명의 학습자들의 응답을 통해 변인 간 관계 및 분포를 살펴보고자 STATA 17 version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분매개모형 분석과 유의성 검정을 위해 khb 분석방법을 통해 검정하였다. 독립변수는 대학의 창업교육, 결과변수는 대학생의 창업역량, 매개변수는 교·강사 만족도와 창업교육 경험이다.
결과 첫째, 대학의 창업교육은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의 창업교육은 교·강사 만족도를 통해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과 창업역량 간 창업교육 경험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창업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의 창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교육을 진행하는 교·강사의 능력 및 자질이 중요하며 이러한 교육방법이 대학생들의 창업역량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대학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대학의 창업교육의 효과성 및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의 창업교육과 대학생의 창업역량 향상 간 교·강사 만족도와 창업교육 경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대학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역량 향상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교·강사 만족도가 그 효과를 매개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창업교육 효과가 창업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세부적으로 밝혀낸 기여점이 있다. 또한, 대학의 창업교육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에서 교·강사 만족도라는 중간변수의 역할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도 학술적·실무적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has an impact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to confirm whether instructo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experiences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Methods To do this, a medi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responses of 297 learners from 14 universities who performed the KDB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conducted by the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The study employed STATA 17 version to conduct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s well as partial mediat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testing using the khb analysis method.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was assum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entrepreneurial capability was assum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structo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experiences as mediating variable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In additi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through instructor satisfaction. However, no significant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behavior through entrepreneurial experience.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need for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to enhance entrepreneurial capabilit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the abilities and qualities of instructors who deliver the education are crucial.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such educational approache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ntrepreneurial cap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ing that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s contribution lies in verifying and elucidat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o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capability. By examining whether instructor satisfaction mediat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the study provides detailed insights into how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translates into improved entrepreneurial capability. Furthermore, the study hold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by highlighting the role of instructor satisfaction as an intermediate variable in the process where the effects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manifes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불안 간의 구조관계분석
- 의과대학 역량중심교육과정 평가준거 구안
-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과학교사의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역량의 향상을 위한 학습조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아동의 미디어 활용 유형 전이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 학생성공 교육혁신 단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방안
-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신체활동이 우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진로탐색 활동을 통한 관점과 인식의 변화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과 진로 선택에 관한 사례 연구
-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인증 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
- 대학 무용 관련 강좌 수강 대학생들의 심리적 유연성, 진로통제소재 및 레질리언스의 관계
- 선메디 VR자연명상 프로그램이 팬데믹으로 등교중지를 경험한 대학생의 심박변이도,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들의 실내 놀이 공간 활용 탐색
- 부모의 기질 및 성격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단원 개발
- 창업역량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윤리적리더십과 윤리적민감성, 윤리풍토, 간호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화상상담 내담자의 상담 성과 탐색을 위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의과대학 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 지연 행동 간의 관계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on Academic Performance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제시
- 국내 노인상담 연구 동향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보건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질적 연구
- 소방관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격려로 조절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 스포츠센터 이용자의 선택속성이 공동체의식과 사회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하이브리드 러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 교양교과목 시행과 학습자의 견해 분석
- 국내 간호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 파이썬을 적용한 <인공지능 수학>의 군집분류 교수·학습 자료 개발
- 초심상담자 수퍼비전 모델 개발
-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집단상담과 대면 집단상담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생태공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감 관점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그릿,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그릿, 자아탄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Potential of UGC New Media Platforms for Art Education: A Case Comparison Based on Wikipedia and Bilibili
- 다문화아동의 언어능력증진을 위한 음률활동 실행연구
- Lasso 회귀모형과 랜덤 포레스트 분석 기법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의 학업 부진 영향요인 분석
- 대학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개별성-관계성의 하위집단에 따른 갈등해결전략이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명사의 특질역할 관점으로 본 한·중 한자어 형태소 차이의 특징
- 목표로서의 수학사를 위한 이차곡선의 교수·학습 자료개발
- 일반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핀란드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 비교 연구
- 애니메이션 영상매체를 활용한 여성건강간호 사례기반학습의 효과
-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이 인식한 메타인지 전략과 그릿이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IB MYP 학교 교육적 실행 양상과 과제
-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집단 유형에 관한 연구
- 네트워크텍스트분석을 통한 숲 체험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전공만족도의 관계
- 팀기반학습으로 운영된 유아동작 모의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Math story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 군집유형에 따른 코칭역량 차이 분석
- 한국판 비합리적 수행신념 척도(iPBIK) 타당화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5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