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집단 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9

영문명
A Study on the Self-Understanding Group Type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BL class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주랑 윤가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175~18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PBL(Project-Based Learning)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이해 수준을 확인하고, 집단 차이를 구분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조사한 ‘5차년도(2020년) KEEPⅡ’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PBL 수업의 만족도’, ‘학과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자유도’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유형은 ‘자기이해도 상’, ‘자기이해도 중’, ‘자기이해도 하’ 집단으로, 최종적으로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집단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PBL 수업의 만족도’, ‘학과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자유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기이해 상’ 집단은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자기이해도 중’ 집단은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계획수행이 낮게 나타났다. ‘자기이해도 하’ 집단은 모든 지표변수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결정과 관련된 요소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자기이해도 수준이 높고 낮은 학습자의 특성을 특정 수업유형을 경험한 학습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수설계 및 전략 수립 단계에서 학습자 특성을 확인하고 자기이해도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여 실행한다면 PBL 수업의 효과가 더 클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groups of self-understanding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PBL clas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is classification. Method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collected samples from the ‘5th year KEEP II: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The variables sele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were ‘PBL class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reedo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understanding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low level’, ‘middle level’, and ‘high level’.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BL class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freedom’. The ‘high leve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all factors. The ‘middle level’ group demonstrated overall levels above average but relatively lower levels of ‘goal execution’. Finally, the ‘low level’ group exhibited low levels in all measured variables, particularly in factors related to decision-mak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self-understanding, specifically focusing on those who experienced a specific class type, PBL. Therefore, we suggest that instructors should identify and implement teaching strategie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promote self-understanding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B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주랑,윤가영. (2023).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집단 유형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5), 175-189

MLA

신주랑,윤가영.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집단 유형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5(2023): 175-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