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339

영문명
Research Trends of the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유진 우수경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793~81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데이터베이스(RISS)에서 영유아(유아, 영아, 아동)+관찰’을 주제어로 검색하여 수집한 영유아 관찰 관련 학술지 논문 71편에서 키워드를 추출한 후, 정제한 161개 키워드의 출현 빈도 분석, UCINET 6를 활용한 분석, Netdraw 시각화 분석,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에서 ‘관찰’, ‘유아’, ‘영아’, ‘예비유아교사’, ‘평정척도’, ‘행동’, ‘기록’, ‘놀이’, ‘연구’ 등이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이를 시각화한 결과 ‘관찰’, ‘예비유아교사’, ‘유아’, ‘기록’을 중심으로 상호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고, ‘관찰’, ‘유아’, ‘평정척도’, ‘예비유아교사’, ‘기록’, ‘행동’의 키워드 모두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난 30년 간 영유아 관찰 연구에서 도출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1기(1994~2011년)는 ‘행동’, ‘평정척도’, ‘발달’, 2기(2012~2018년)는 ‘예비유아교사’, ‘평정척도’, ‘음악활동’, 3기(2019~2023.5)는 ‘기록’, ‘놀이관찰’, ‘관찰역량’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의 영역과 연결, 시대적 강조점을 살펴보고, 연구 방향의 다변화를 모색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영유아 관찰과 관련된 활발할 연구를 통하여 현장의 교육적 실천을 지원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of the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To this end,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71 academic papers on the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which were preserved in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RISS) under the theme of “infant-young children (infant, young children) + observation.” After refining the collected keywords, 161 keywords were analyzed by UCINET 6, and then visualized using Netdraw. Results First, in research related to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observation,” “infants,” “pre-service teachers,” “rating scales,” “behavior,” “recording,” “play,” and “research” appeared as major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Visualized results showed that “observation,” “pre-service teachers,” “infants,” and “recording” were complicatedly correlated. This results also showed that all the keywords including “observation,” “infants,” “rating scales,” “pre-service teachers,” “recording,” and “behavior” had high levels of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Second, results of examining the keywords derived from the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studies over the past 30 years revealed that major keywords of three periods were as follows: The first period (1994-2011) - “behavior,” “rating scales,” “development,” the second period (2012-2018) - “preservice teachers,” “rating scales,” and “music activities,” and the third period (2019-2023) - “recording,” “play observation,” and “observation capabilit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areas, connectedness, and periodical emphases of the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studie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sought ways of diversify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ways to support educational practice in the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rough actively conducting the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유진,우수경. (202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5), 793-813

MLA

한유진,우수경.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5(2023): 793-8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