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기 부(父) 사별 및 애도 지연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23

영문명
A Autoethnography on experiences of bereavement and delayed mourning of fathers in childhoo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수경 김명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1027~10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 연구자 개인의 경험인 아동기 부 사별과 애도 지연 경험을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서 자녀가 부 사별 당시에 경험했던 바를 탐색하고, 부 사별에 대한 애도 감정이 억압되며 애도가 지연되는 과정에서 자녀가 경험하는 내면세계와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방법 본 연구는 자기 연구(self-study)의 한 분야인 자문화기술지라는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자인 성찰일지, 기억 회상 자료, 심리치료 축어록, 인터뷰 자료 등 연구자 개인의 경험을 기록한 자료를 중심으로 공동연구자와 협력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독자로 하여금 공명을 불러일으키고 대화를 촉진하는, 촉매 타당도를 활용하였고, 자문화기술지 연구 경험이 풍부한 박사 2인과 박사 수료생 1인에게 전문적인 검토를 받았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애착의 자녀는 부모 사별을 경험한 경우에 애도 감정을 억압하고 회피하며 애도 지연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부모 사별을 경험한 아동은 살아있는 한쪽 부모를 비롯한 주변 어른들의 돌봄과 관심이 부족하거나 없다면 사별 경험이 복합외상이 될 수 있다. 셋째, 사별 경험 당시에는 1차 정서를, 애도 지연 과정에 따른 경험에서 2차 정서를 주로 경험할 수 있으며 2차 정서가 복합비애와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자문화기술지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하기 위해서 연구자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으며, 그럴 수 없다면 외상 경험은 심리치료가 이루어진 다음에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결론 부모 사별에 대한 애도가 지연되었을 때는 복합외상이 되었고, 복합비애에서 1차 정서보다는 2차 정서가 개인 전반에 깊이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e study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of childhood bereavement and delayed mourning were describ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 children experienced at the time of the bereavement and to examine in depth the inner world and its meaning experienced by the children in the process of suppressing mourning for the bereavement and delaying mourning. Methods In this study a research method called autoethnography was applied, which is a field of self-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cooperation with the collaborator, focusing on the data recorded by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such as the researcher's self-reflection diary, memory recall data, psychotherapy verbatim, and family interview data.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tudy, catalytic validity was used, and it received professional review by two Ph. Results First, children with insecure attachment suppress and avoid mourning feelings when they experience parental bereavement, and mourning may be delayed. Second,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of their parents, the bereavement experience can become complex trauma if they lack or lack the care and attention of surrounding adults, including one living parent. Third, the primary emotion can be mainly experienced at the time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 and the secondary emotion can be mainly experienced from the experience following the delayed mourning proces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ary emotion is related to complicated grief. Fourth, in order to adopt the self-cultural descriptive paper as a research method,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researcher's own emotions objectively. Fourth, in order to adopt autoethnography as a research method,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researcher's own emotions objectively. Conclusions When mourning for the death of a parent was delayed, it was a complex trauma, and as a result, secondary emotions rather than primary emotion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individual as a who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수경,김명찬. (2022).아동기 부(父) 사별 및 애도 지연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3), 1027-1044

MLA

남수경,김명찬. "아동기 부(父) 사별 및 애도 지연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3(2022): 1027-10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