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장애학생 통합교육 실천⋅인식⋅지원 요구 유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409

영문명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Practice⋅Perception⋅Needs of Support Typ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민영 이상수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3호, 805~8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 설정된 목적은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통합교육 실천⋅인식⋅지원 요구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통합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질적 메타분석을 기반으로 8단계로 구체화된 문헌분석이다. 질적 메타분석은 개별 질적 연구물을 종합적 차원에서 분석⋅확장적 해석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질적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분석자료는 다양한 학술자료제공 사이트(RISS, KISS, Scholar, DBpia, e-Article 등)에서 수집하였다. 분석자료 수집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EXCEL이다.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분석자료 9편이 선정되었다. 분석자료는 통합교육 실천⋅인식⋅지원 요구 유형 파악이 가능한 통합교육 경험을 중심 내용으로 설정한 질적 연구물이다. 결과 첫째,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실천 유형이다. 장애학생과 정서적 공감대를 확보하고자 하였고, 장애학생-일반학생 관계 증진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통합교육 전문성 확보, 교사-교사 간 협력적 관계 구축을 위한 노력도 발견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인식 유형이다. 통합교육을 일반학생⋅장애학생⋅교사의 성장을 유도하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통합교육 대상인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학교환경 특성⋅지원체계가 미흡한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받아들인다. 셋째,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요구 유형이다. 통합교육 전문성 확보를 위해 다양하고 전문적 수준의 통합교육 연수를 요구한다. 통합교육 정보교류 확대를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실천 메뉴얼 필요성이 제시된다. 결론 통합교육 발전을 위해 통합교육 실천 각 주체 간 높은 수준의 협력적 관계 구축이 요구된다. 장애학생 인권교육, 의사소통문제 개선도 필요하다. 통합교육 전문성 지원을 위한 교사연수가 확대되어야 한다. 향후, 국내⋅외 연구물을 종합 분석하는 등 통합교육 연구가 더욱 폭넓게 진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가 통합교육 관련 연구 활성화와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교육의 사회적 책임’ 수행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To this end, the type of practice⋅perception⋅support typ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ere analyzed. Methods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data are nine qualitative paper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cel used as a this research tool.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interested in securing emotional consensus among disabled students and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and general students. In addition, it secured expertise in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and established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sitively evaluate integrated education for general students, disabled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that induce teacher growth. However,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is negatively evaluated due to the recognition of disabled students, the school environment, and the lack of support system.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training program.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igh level of cooperative relationship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and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should also be improved. It is also necessary to support teacher training and provide expanded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manuals.

목차

Ⅰ. 서론
Ⅱ.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
Ⅲ. 질적 메타분석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민영,이상수. (2022).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장애학생 통합교육 실천⋅인식⋅지원 요구 유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3), 805-822

MLA

정민영,이상수. "통합교육 담당 초등교사의 장애학생 통합교육 실천⋅인식⋅지원 요구 유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3(2022): 805-8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