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용수 327

영문명
Image Analysis of Classroom Spa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영(Lee, Soo-Young) 정재은(Jung, Jae-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671~68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초등교실 공간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 인식의 차이, 교사와 학생의 성별 간 인식의 차이, 학생의 학년 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에 대해 이미지를 조사⋅분석하기 위해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였고, 교실 이미지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차이와 성별의 차이는 t-검정을, 학년에 따른 차이는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실 이미지에 대한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교실 공간은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행복한’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협력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즐거운’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개방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교사와 학생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는 다양성, 즐거움, 포용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보다 학생들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른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 분석 결과 남녀 학생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사의 경우에는 안락함과 즐거움 요인에서 여교사의 인식이 남교사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섯째, 학년에 따른 학생 응답 평균의 차이는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4학년이 5학년이나 6학년보다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교실 공간을 만들고 교실 공간을 평가하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학생의 인식이 교사보다 높지만 약간 긍정의 수준으로, 매우 긍정의 수준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만큼 초등교실 공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초등학교 교실 공간을 다양성을 충족하면서 새롭고 창의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저학년 교실 위주의 현 학교공간혁신 사업의 대상을 고학년 교실에 대한 개선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through the image of the current elementary classroom spa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gender, and between students grade levels. Methods To find th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us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classroom image.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were verified through t-test,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were confirmed through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classroom image, the classroom space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Second, for the image of classroom spa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happy’ in the pleasure factor, and ‘cooperative’ in the inclusiveness factor.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fun’ in the pleasure factor, and ‘open’ in the inclusiveness factor, regarding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mages of the classroo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diversity, pleasure, and inclusiveness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lassroom than the teachers(p<0.01).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tudents, but in the case of teachers,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comfort and pleasure factors were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s(p<0.05.) Sixth, the difference in the mean according to grad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factors of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Overall, the 4th grader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than the 5th or 6th grade(p<0.05). Conclusions In order to restructure the classroom space and evaluate the classroom space,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s essential. As a basic study for such particip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although students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eachers , they were at a slightly positive level, somewhat far from a very positive level of elementary classroom space. Efforts for improvement are required continuously. In particular, efforts to change the classroom space new and creatively while satisfying diversity are required, and since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was relatively low toward the upper grades, improvement of the classroom space in the upper grades should also b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영(Lee, Soo-Young),정재은(Jung, Jae-Eun). (2022).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3), 671-689

MLA

이수영(Lee, Soo-Young),정재은(Jung, Jae-Eun).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3(2022): 671-6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