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조화 방안

이용수 263

영문명
A Plan to Structure the Content System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지연(Choi, Jiyeon) 김종우(Kim, Jongw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655~66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실과 교육과정 설계 절차에 따라 실과교육이 지향할 교육목표, 탐구대상, 내용 범주를 검토하고, 이에 따라 내용체계 구성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그동안 실과교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종합하는데 주력하였다. 연구는 주로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는데 실과의 교육목적과 탐구대상은 무엇인지, 실과의 탐구대상을 구체화한 실과 교육내용 범주 구성은 어떠해야 하는지, post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의 내용체계 구성안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결과 이 연구에서 제안된 실과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성안은 먼저 실과의 탐구대상을 인공세계로 규정하였으며, 규정된 실과 탐구대상인 인공세계를 구체화하여 실과교육과정 내용구성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구체화에 따라 중핵개념인 지식과 기능으로서 실천역량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중핵개념은 인공물과 체제, 발달과 가족, 생활과 문화, 관계와 시민성, 일과 진로의 5개로 분류하여 제안하였으며 기능(실천역량)은 선택, 설계, 관리의 세 가지 역량으로 종합하였다. 결론 사회적 변화 및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전문가 집단의 합의에 의존한 교육과정 개정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연구 집단이 다양한 유형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연구 집단이 내어 놓은 의견 중 하나의 의견으로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lan to construct the content system of the next practical arts curriculum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tent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Methods To this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nd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synthesized and content composition was proposed. Results The school subjects aim to understand the world surrounding the learner, and the Practical arts also aims to understand the artificial world. Contents of the artificial world could be divided into the core concepts(knowledges) and the capabilities(skills or abilities). The core concepts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artifacts and systems, work and career,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and citizenship, and life and culture, and capabilities(practical competencies) could be categorized into ‘choice’, ‘design’, and ‘management’. Conclusions Until now, curriculum revisions of the Practical arts have followed social changes and demands of the society rather than based on specific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has also tended to rely on expert consensus. Howeve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various research groups to develop various types of curriculums without relying on the curriculum revision cycl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nationa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실과의 교육목적과 탐구대상
Ⅲ. 실과 교육내용의 재범주화
Ⅳ.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 내용체계 구조화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연(Choi, Jiyeon),김종우(Kim, Jongwoo). (2022).실과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조화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3), 655-669

MLA

최지연(Choi, Jiyeon),김종우(Kim, Jongwoo). "실과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조화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3(2022): 655-6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