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비교 분석

이용수 528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er Efficacy between Busan Da Happy School and General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석우(Kim suk woo) 이신영(Lee sin young) 장재혁(Chang jae hyuck) 황석현(Hwang seok 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187~20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형 혁신학교인 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으로 구분해서 비교⋅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B광역시 소재 부산 다행복학교 6개교, 일반 중학교 6개교의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1일부터 3월15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뒤, 총 237명의 설문결과를 기반으로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고, t-검증을 통해 변인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부산 다행복학교 교사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다행복학교 교사의 개인적 효능감이 일반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 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교사효능감에서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이 부산 다행복학교 교사가 일반 중학교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다행복학교 근무경력에 따른 개인적⋅집단적 교사효능감은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교수과제분석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1~3년 미만의 교사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3년 이상 교사 집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산형 혁신학교인 부산 다행복학교 교사의 개인적⋅집단적 교사효능감을 높여 교사의 효능감의 상승이 교육의 수요자인 혁신학교 학생들의 행복한 교육, 성장하는 교육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학교혁신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at Busan Dahappiness School and General Middle School, which are Busan-type innovative schools, by dividing them into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80 teachers from 6 schools in Busan and 6 general middle schools in B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1 to March 15, 2021, followed by technical statistic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based on a total of 237 survey results, and t-verification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Results A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at Busan Multi-Happiness School and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Therefore, the personal efficacy of teachers in multi-happiness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in personal teacher efficacy,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nfidence were higher in teachers at Busan Happy School than in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analysis of self-regulation efficacy, confidence, and teaching tasks among the sub-variables in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 of multi-happiness school. In detail, the teacher group under 1 to 3 year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teacher group over 3 years was relatively low. Conclusion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school innovation so that the increase in teacher efficacy can consist of happy education and growing education for innovation school students, who are consumers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우(Kim suk woo),이신영(Lee sin young),장재혁(Chang jae hyuck),황석현(Hwang seok hyun). (2022).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3), 187-201

MLA

김석우(Kim suk woo),이신영(Lee sin young),장재혁(Chang jae hyuck),황석현(Hwang seok hyun). "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3(2022): 187-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