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델 타당성 연구

이용수 331

영문명
Validity Study of Online Educational Sociology Class in the Context of COVID-19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지선(You, Ji-S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215~23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형이 학생들의 교과 및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였는지 확인함으로써 수업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을 수강한 3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평소평가 과제물인 수업활동 자기평가보고서를 함께 분석하여 양적⋅질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을 통해 교과 및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수업에 사용된 영상 자료가 교육사회학 수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75.8% 이상은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없었으며, 이 수업에서 미디어 제작 관련 수업이 부족하여 미디어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의 단점으로 교수자와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발표와 질문의 어려움을 꼽았다. 결론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돕는 온라인 수업을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수업 설계, 온라인 강의 송출 관련 제반 시설의 첨단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model by confirming whether the online educational sociology class applied with the media literacy teaching-learning metho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ubject and media literacy ability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a class e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33 college students who took an online educational sociology clas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self-assessment report of class activity prepared by the students, the validity of the class model was confirmed in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cognized that the students cultivated subject and media literacy skills through online educational sociology classes. Secon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media materials used in the class we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sociology class. Third, more than 75.8%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no prior experience in media literacy classes, an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project-based media production activities due to the lack of media production class content. Fourth, students mention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instructors, giving presentations, and asking questions as disadvantages of online classes. Conclusions As a suggestion for this study, in order for instructors to successfully conduct online classes fo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t was discussed the need for class design for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modernization of facilities related to online lecture transmission, and reinforcemen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선(You, Ji-Sun). (2022).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델 타당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3), 215-234

MLA

유지선(You, Ji-Sun). "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델 타당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3(2022): 215-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