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이용수 361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in Curriculum-Linked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철우(Lee Chul Woo) 장원혁(Jang Won Hyuk) 심재형(Sim Jae Hy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93~11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과연계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역량중심 기반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지원체계를 확대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연구와 다르게 역량기반 교과연계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비교과과정의 연계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성을 가지며, 최종적으로는 대학생의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취⋅창업역량을 높이기 위해 효과적인 비교과프로그램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성과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부산소재 K대학의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을 이수한 재학생 97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와 현장중심 직무역량, 맞춤형 취⋅창업역량 및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측정은 K대학에서 개발한 FOCUS 역량 진단도구(행동진술문 BARS)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평균차이 분석과 국가자격증 프로그램 효과성 검정을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했다. 국가자격증 프로그램과 현장중심 직무역량 및 맞춤형 취⋅창업역량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은 SPSS ver.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전공계열별로 국가자격증 프로그램 만족도와 연계된 역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국가자격증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역량평가 결과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가자격증 프로그램 만족도는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하위역량인 전공실무능력, 자기주도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국가자격증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으면 맞춤형 취⋅창업역량과 하위역량인 진로설계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경력개발능력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교과과정 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을 높일 수 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전공실무능력과 자기주도성, 진로설계능력을 높이는데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dire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support system through the subject-related extracurricular program that is being actively discussed in universities. Unlike previous studies, it has a differentiation in that it systematically analyzes the linkages of extracurricular courses through competency-based, subject-relat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nally, in order to enhance the Field-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it is intended to find an effectiv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 plan and to present a performance model of the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Method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satisfaction,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and sub-factors was analyzed for 975 students who completed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at K college in Busan. For measurement, the FOCUS competency diagnostic tool(behavioral statement BARS) developed by K college was used, and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verag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For analysis, SPSS ver.26.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tenc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by majo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e-post competency evalua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was confirmed.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sub-competence, major practical ability, and self-direction.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was high, it was analyz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and career design capability, which is a sub-competence, but was not significant on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by activat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can be increa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우(Lee Chul Woo),장원혁(Jang Won Hyuk),심재형(Sim Jae Hyeong). (2022).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3), 93-110

MLA

이철우(Lee Chul Woo),장원혁(Jang Won Hyuk),심재형(Sim Jae Hyeong). "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3(2022): 93-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