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 의미 탐색
이용수 345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appearance through photo-voice exploring the meaning of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주(Kim, Jung Ju) 김은정(Kim, Eun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465~47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에 대한 의미를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알아보고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간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관계맺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준비, 조사, 분석, 공유의 절차로 진행되었고, 자료의 분석은 자료와 친숙해지기, 코딩하기, 주제 찾기, 주제를 재검토화하기, 주제 명명하기, 보고서 작성하기 등의 6단계로 이루어졌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는 관계맺기의 주요한 대상을 영유아, 학부모, 동료교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유와의 관계맺기는 ‘관찰하고 이해하는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맺기는 ‘맞추고 맞추며 또 맞추는 관계’,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와의 관계맺기는 ‘같은 길로 뛰는 관계’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에 대한 의미를 살펴본 결과, 관계맺기를 위한 필요 요소가 있으며, 필요 요소로 ‘긍정적 이미지로 행동’하며,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론 진정한 의미에서의 소통과 협력적 관계맺기에 대해 영유아교사 개인차원을 넘어서 공동체 차원에서의 고민과 조력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lationship and to explore the meaning based on their experienc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for 4 months from March to June 2021 with 10 teachers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investigation, analysis, and sharing,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in six steps; familiarising yourself with your data, generating initial codes, searching for themes, reviewing themes, defining and naming themes, and producing the report.
Results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targets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were childrens, parents, and fellow teache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was understood as a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as a ‘match, match, and match relationship’,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with a fellow teacher as a ‘relationship running on the same pat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elements necessary for establishing relationships and what it meant was that it was necessary to act with a positive image and to maintain harmony and balance in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Conclusions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the true sense, it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by their concerns and assistance at the community level, beyond the individua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과대학 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 행동 간의 관계
- 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델 타당성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와 일반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비교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기대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간의 관계
- 와인명상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알아차림 주의자각,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고경력 교사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주기적 반복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학습 시스템 개발 연구
- 아동의 자존감과 주관적 행복(Happiness) 및 삶의 만족 간의 교차지연 효과
- 2019 개정누리과정에 기초한 음악놀이에서 나타난 만5세 유아들의 심미적 경험
- 통합운영학교 예산운용 실태 및 쟁점 분석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 관계에서 학습 무기력의 매개효과
-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에서 창의핵심역량을 적용한 PBL수업에 대한 형성적 연구
- 시각적 지원을 적용한 음악교육 방안
-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과 영향 요인 간 인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hVda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 A Study on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Exercise Attitude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놀이 맥락에 따른 영아의 사회적 행동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돌봄인식과 스마트폰 사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이양시 예술대학 2학년 대학생들의 자아상태와 목표지향성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따른 유형 분류 및 설명요인 탐색
- 정서표현 양가성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따른 만3세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 대학에서의 온라인 강의 지원 방안 모색
- 경쟁기반 학업의 심리적 경험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해석적 발문에 기초한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이 예비중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관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탐구수업에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패턴 분석
- 성인 문해학습자의 학습 변화 양상과 학습의 의미
- 층간소음을 다룬 그림책에 나타난 갈등 구조 분석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띄어쓰기 등급별 교육 방안 연구
- COVID-19시대 대학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수업컨설팅
-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 의미 탐색
-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정서와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ncert Band in Music Therapy on Social Anxiety Intervention for Chinese Medical College Students
- 예비체육교사 교육자의 비대면 강의 운영을 통한 교육적 성장의 가치 탐색
- 실과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조화 방안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유형에 대한 Q방법론적 접근
- 미래지향적 영어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대학생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맞춤법 교육 방안 연구
- 아동의 그릿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완곡 표현의 분석적 고찰
-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Korean Grammar Utilizing Corpora
- COVID-19 상황 하의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징과 영향요인 분석
- 성인학습자 대상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간호대학신입생의 우울증인식,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관한 연구
- 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3호 목차
- 상담자 관련 척도 연구의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