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야문화권역 인디카(Indica)형 야생벼 분포 양상과 고고유적 속벼 식물유체 분석을 통한 삼국유사 속 ‘허황옥 설화’ 재조명

이용수 135

영문명
Review of the Folk Tale of Hwang-Ok Heo in Samguksa through Analysis of Carbonized Rice in Archaeological Relics and the Dispersion of Indica Type Wild Rice in the Gaya Cultural Are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화선(Lee Hwase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11호, 63~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모티프는 삼국유사 속 가야의 허황옥 설화에 등장하는 쌀[粳米]과 바닷길이다. 쌀과 농경은 그 자체가 문화의 문제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내 도작농경의 기원과 도작유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지역의 벼 품종과 분포 양상을 실증적인 맥락에서 파악하여 신화가 신화로만 그치지 않고 실제 역사적인 사실이었을개연성을 논증하여 삼국유사 속 허황옥 설화를 재조명하는 데 있다. 연구범위는 고대 해상루트를 중심으로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한국 동남부와 일본 남서부에 이르는지역을 포괄한다. 연구방법은 한국의 고고유적 속 탄화벼를 대상으로 벼 식물유체에 대한 식물화학적이고, 미시적인 분석과 집적된 고고학 자료를 활용하였다. 즉, 고분에서 출토된 탄화미의 연대기와 구조, 남한 지역의 앵미[赤米] 등 이형주(異型株, Off-typed rice) 분포가 주된 분석대상이다. 이를 통해 두 가지가 논증되었다. 하나는 한국지역에서 현재 낙동강 등 가야문화권역에서만 나타나는 Indica형야생벼의 존재는 인도의 농경문화와 상관성이 있음을 밝힌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야가 성립하기도 전에 출현한Indica 탄화벼에 대한 논제로 이들 탄화벼는 남인도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등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거석문화를 주도했던 고대인들과 연관되어 있음을 정리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rice [粳米] and maritime route in the folk tale of Hwang-Ok Heo ofGaya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Sam Guk Yu Sa,三国遺事]. Rice or rice farming is a matterof culture itself, and this study is an actual analyzing of rice cultivar and discretion across Asia,in addition to previous studies on the origins and types of rice farming on the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ructures and demonstrate exchanges between anancient Korean kingdom, Gaya and ancient India. The method and object is on a macroscopicview of the region from India to Southeast Asia, South China, Southwest Japan and SoutheastKorea centering on ancient maritime routes. However, a microscopic analysis centering on carbonized rice excavated in the Gimhae regionof Korea is most important. In other words, the chronology and structure of carbonized riceexcavated from the relics, and the discretion of off-typed rice in the South Korean region, arethe main targets. Through this,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the emergence of wild rice of theIndica rice, which appears only in the Gimhae region within the Korea, is correlated with theagricultural culture of India.

목차

1. 서론
2. 삼국유사 속 허황옥 설화의 의미 양상
3. 한국지역 벼의 재배기원과 분류
4. 가야문화권역 인디카(Indica)형 야생벼 분포 양상과 작물화 편년 의미
5. 결론 - 허황옥 설화 재조명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선(Lee Hwaseon). (2021).가야문화권역 인디카(Indica)형 야생벼 분포 양상과 고고유적 속벼 식물유체 분석을 통한 삼국유사 속 ‘허황옥 설화’ 재조명. 문화와융합, 43 (11), 63-87

MLA

이화선(Lee Hwaseon). "가야문화권역 인디카(Indica)형 야생벼 분포 양상과 고고유적 속벼 식물유체 분석을 통한 삼국유사 속 ‘허황옥 설화’ 재조명." 문화와융합, 43.11(2021): 6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