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훈민정음과 태극의 철학

이용수 233

영문명
Hun-Min-Jeong-Eum(訓民正音) and the Philosophy of Tae-Geuk(太極)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강병국(Kang Byeongku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11호, 847~86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글의 창제 원리를 설명하면서 자연스레 그를 뒷받침한 철학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한글의 철학이라 할 수 있겠는데, 그 내용을 보면 ‘태극’이라는 상징에 집약되어 태극의 철학을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실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보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상징이 태극기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태극의 철학은 그 내용이 빈곤한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오늘날 태극 문양은 단지 음양론을 상징하는 것 정도로 여겨지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우리 민족의 태극 철학이 어떤 것인지 그 구체적 내용을 밝혀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태극의 형성과정을 5단계로 나누어 도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태극에는 생(生)과 성(成)의 두 차원이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혔다. 이는 어떤 존재가 이 세상에 태어난[生] 상태 그대로는 아직 완성된 [成]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이처럼 아직 날 것 그대로인 생(生)의 차원으로부터 성숙하고 완성된 성(成)의 차원으로 올라서라는 것이 존재에게 부여된 천명이며, 이러한 천명이 부여된 존재가 사람이라는 것이 태극의 인간관이라고 할 수 있다. 태극에서 사람이 세우는 인극(人極)의 자리는 태극의 중심이다. 이처럼 자기를 초월한 곳, 하늘의 뜻을 따르는 자리에 인극을 세우면 주변의 만물은 이를 중심(기준)으로 원만하게 순환하며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룰 수 있다. 결국 사람이 나의 자리가 아닌 태극의 중심에 인극을 세웠을 때 그는 자기 존재를 고양시켜 더욱 성숙하고 큰 존재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화와 균형을 통해 자기 주변의 모든 사물들 역시 한층 고양된 존재로 끌어올릴수 있다. 그는 하늘의 뜻에 따라 태극의 순환을 이루어 우주를 고양시키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태극의 도상은 이와 같은 상태를 상징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태극의 의미를 연구한 결과 태극은 단지 음양론을 상징하는 정도가 아니라 우주론과 인간관을 표현한 상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태극 철학의 내용과 상통하는 사상이 『정역』, 『천부경』, 동학 등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15세기에 한글의 창제라는 일대사업을 계기로 한글 창제자에 의해 『훈민정음』 해례본에 집약되어 제시된 태극 철학이 이후로도 면면히 이어져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Hun-Min-Jeong-Eum Haerye edition(訓民正音 解例本) explains the principles for the creation of Han-geul and, at the same time, naturally presents the philosophy underlying it. It can be viewed as the philosophy of Han-geul, which boils down to the symbol of Tae-Geuk(太極) and, thus, constitutes the philosophy of Tae-Geuk. Nonetheless, this fact is not known and, therefore, we are still lacking adequate contents about the philosophy of Tae-Geuk despite Tae-Geuk-Ki(太極旗) is the symbol representing our country. Today the symbol of Tae-Geuk is simply considered as symbolizing the yin-yang(陰陽) theory. For that reason, this paper clarifies and offers the specific details of the philosophy of Tae-Geuk as contained in Hun-Min-Jeong-Eum Haerye edition. As a result of my research, I was able to present the 5 development steps of Tae-Geuk as diagrams. Based on this, the fact that Tae-Geuk is composed of the two levels - creation[生] & completion[成] - was unveiled for the first time. It means that a being in the state of creation[生] as it is born has not yet reached the state of completion[成]. By the same token, the innate duty of a being is to advance from the state of creation as it is born to the state of completion as it gets mature. The philosophy of Tae-Geuk on humanity is that human beings are born with such innate duty. At the heart of Tae-Geuk is the place where the self of human being is transcended in accordance with the divine will. If In-geuk(人極 ) is established at the heart of Tae-Geuk, all the surroundings will amicably revolve around this core principle and, then, will unite in harmony and balance. In the end, when a human being establishes In-geuk at the heart of Tae-Geuk, he/she advances himself/herself and, further, elevates all the surroundings to a far advanced level through harmony and balance as well. It means he/she advances the entire universe by achieving the circulation of Tae-Geuk in accordance with the divine will. The symbol of Tae-Geuk represents the state like this.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my research on the true meaning of Tae-Geuk as contained in Hun-Min-Jeong-Eum Haerye edition, I discovered that Tae-Geuk is the symbol representing the philosophy of cosmology and humanity, not just symbolizing the yin-yang theory. Additionally, I confirmed that the ideas similar to the philosophy of Tae-Geuk also appeared on Jeong-yeok(『正易』), Ch『天符經』), Donghak(東學). This can be viewed as the philosophy of Tae-Geuk condensely contained in Hun-Min-Jeong-Eum Haerye edition by the creator of Han-geul, which was triggered by the unprecedented event of the creation of Han-geul in the 15th century, had been continuously passed down throughout our history.

목차

1. 서론
2. 『훈민정음』과 태극
3. 『훈민정음』에 천명된 태극의 철학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병국(Kang Byeongkuk). (2021).훈민정음과 태극의 철학. 문화와융합, 43 (11), 847-865

MLA

강병국(Kang Byeongkuk). "훈민정음과 태극의 철학." 문화와융합, 43.11(2021): 847-8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