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초등 사회과 교과교육적 접근

이용수 465

영문명
Elementary Social Studies Approach to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현(Kim Young-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9호, 505~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에서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확인하고 이를 담아낼 수 있는 구체적 수업사례를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의 등장배경과 함께 유사한 다른 교육개념들을 비교하여 세계시민교육의 특성과 한계를 도출하였다. 이로부터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을 구성하는 담론들의 지형, 세계시민교육과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이 글로벌 문제를 보는 관점의 차이,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이 작동하는 구조를 검토하여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실제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초등 사회과에 기반한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수업사례를 제시하였다. 결과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한계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세계시민교육이 신자유주의, 자유주의, 비판적 담론과 담론 간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었음을 세계시민교육의 유형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세계시민교육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을 ‘부드러움’과 ‘비판적’으로 비교하여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구조와 요소를 탐색하였다. 끝으로 글로벌 초콜릿 기업의 아동노동금지와 코로나 19로 인한 편견과 차별 그리고 생명의 가치를 학습주제로 한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두 수업사례를 제안하였다. 결론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은 초등 사회과의 성격, 구성 원리, 학습주제, 추구하는 학습자의 역량 등에서 매우 동질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이 교과교육에서 이루어질 때 초등 사회과와 상호 연계 및 융합교육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또한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은 수동적 시민이 아닌 왜곡된 권력과 억압된 기술에 대응하고 서로 연대하여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나가도록 실질적 방식과 가능성을 찾고 도전하도록 촉진한다는 점에서 사회과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단기간의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공교육의 첫 단계인 초등교육에서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lications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CGCE) 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of elementary school. And show examples in class. Method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are derived by comparing other similar educational concepts with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GCE. From this, the necessity of CGCE is discussed, the discourse that constitutes CGC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between GCE and CGCE on global issues, and the structure in which CGCE works are reviewed. In addition, a case study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was added. Results In order to overcome the various limitations and problems of GCE, CGCE was confirm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CE s neoliberalism, liberalism, and critical discourse and discourse was reviewed through the types of GCE. In addition, the specific viewpoints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perspectives on problems in GCE with soft and critical perspectives, and structures and elements used in CGCE in the educational field were explored. Finally, two examples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deal with the prohibition of child labor in global chocolate companie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caused by COVID-19 and the value of life were proposed.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CGCE is very homogeneous i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composition principles, learning topics, and learners competencies. This means that when CGCE is conducted in subject education, it is suitable for inter-connection with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convergence education. And since the human image pursued by CGCE cannot be achieved through short-term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art with elementary education, the first stage of publ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세계시민교육에서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으로
Ⅲ. 세계시민교육의 담론지형: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Ⅳ.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관점: 비판적 문해력
Ⅴ.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구조
Ⅵ.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실제: 수업예시
Ⅶ.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현(Kim Young-Hyun). (2021).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초등 사회과 교과교육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9), 505-524

MLA

김영현(Kim Young-Hyun).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초등 사회과 교과교육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9(2021): 505-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