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복교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최초 학업중단 사유에 따른 부모애착, 또래애착, 우울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688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First Dropout Reason of Adolescents who Returned to Schoo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인(Kim, Gyoungin) 이지혜(Lee, Ji Ha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9호, 653~66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복교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우울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초 학업중단 사유(개인요인, 학교요인, 부모 및 또래 관계요인)에 따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1차연도(2013) 데이터의 응답자 중 복교경험이 있는 128명이다.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Jamovi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전체 집단에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모두 우울과 부적 관계를 보였고,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전체 집단에서 자아탄력성은 우울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체 집단에서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모형에 투입하였을 때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은 우울과의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넷째, 최초 학업중단사유에 따라 전체 집단을 구분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을 때 개인요인(1집단)에서는 부모애착의 직접효과와 또래애착의 직접효과 및 자아탄력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미하였다. 학교요인(2집단)에서 자아탄력성을 통한 또래애착의 간접효과만 유의미하였다. 부모 및 또래 관계요인(3집단)에서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직접효과만 유의미하게 우울을 예측하였다. 결론 복교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에 개입하기 위해서 부모 및 또래와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이 도움이 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 상담적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복교한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리적 개입을 시도할 때에 최초 학업중단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who returned to school, and examines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s also significant in all groups regardless of their first dropout reason(personal, school, and parent and peer relationship-related reas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28 dropout students who have returned to school in the first year (2013)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 first year of dropout youth panel surve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and the Jamovi 10.0 program, and bootstrapping methods were utiliz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Results First, both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showed a invers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resilience in the entire group. Second, self-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in the entire group. Third,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and the indirect effect via self-resilience were all significant. Fourth, when performing mediation analysis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first reason for academic dropout the 1st group(personal reasons) yielded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and indirect effect of peer attachment via self-resilience. The 2nd group(school-related reasons) yield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peer attachment on depression via self-resilience. On the other hand, the 3rd group(parent and peer relation-related reasons) only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on depression. Conclusions Through these findings, we suggested that stable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of returning dropouts are helpful for intervening on depression, and that counseling interventions through increasing self-resilience could be effective as well. Then we discusse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first dropout reason of returning dropout students when planning for individual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인(Kim, Gyoungin),이지혜(Lee, Ji Hae). (2021).복교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최초 학업중단 사유에 따른 부모애착, 또래애착,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9), 653-669

MLA

김경인(Kim, Gyoungin),이지혜(Lee, Ji Hae). "복교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최초 학업중단 사유에 따른 부모애착, 또래애착,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9(2021): 653-6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