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한조선족 집거지의 민족정체성 변화요인과 재편 탐색

이용수 156

영문명
The Change Factors and Reorganization of the Korean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Resident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하진기(Ha, Jin Kee) 박재영(Park, Jae-Yo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4호, 1191~122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재한조선족은 우리와는 같은 민족이자 다문화 한국사회를 대표하는 해외 이주민 집단이다. 이들은 한국이주 이후 한국사회와 연계하고자 했던 한민족개념에 대응하면서 자신들만의 집거지를 형성하였고 그 범위를 점차 확대해오고 있다. 동시에 집거지 내부에서의 중국색이 강한 자신들만의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와 차별화 및 분리화를 시도하는 분절동화현상을 발현하면서 한민족정체성 형성보다는 중국소수민족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강화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한조선족 집거지 내부의 분절동화현상에 의한 민족정체성 변화 요인을 살펴보고, 한국사회가 긍정적인 포용적 동화주의 관점을 토대로 민족정체성 형성 재편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는 서구사회의 보편적인 민족개념을 수용하고 민족, 인종, 피부 색깔 등의 차별을 탈피하고 상호 공감대 형성과 동시에 이데올로기적인 종족적(ethnic) 민족주의 개념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한국사회는 민족정체성 형성 재편을 위해 재한조선족의 집거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분절동화현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대응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 한국사회는 재한조선족을 포함하여 해외 이주민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Korean-Chinese people who live in Korea should be considered part of the Korean ethnic group with no difference from native Korean people. They are a group of international migrants who represent Korean society. This group reflects the concept of a Korean people that seeks to connect with Korean society after immigrating to Korea. At the same time, they have strengthened their identity as a minority ethnic group in China rather than establishing a Korean identity by exhibiting segmental assimilation through attempting to differentiate and separate Korean culture from their own culture that is centered on their experience of Chinese cultu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result in changes in ethnic identity through the segmental assimilation phenomenon exhibited by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Korea and searched for the basis of ethnic identity reconstruction within the inclusive assimilationist perspective.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society should accept the universal concept of nationalism and move away from discrimin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such as race, ethnicity and skin color and expand the scope of ideological nationalism while forming consensus. Second, Korean society should positively accept and respond to the segmentalization phenomenon occurring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in order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Third,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needs to be actively aware of foreign migrants, including Korean-Chinese people living in Korea and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foreign residents.

목차

1. 머리말
2. 이론적 논의와 적용
3. 분절동화현상에 의한 민족정체성 변화
4. 민족정체성의 재편
5.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진기(Ha, Jin Kee),박재영(Park, Jae-Young). (2019).재한조선족 집거지의 민족정체성 변화요인과 재편 탐색. 문화와융합, 41 (4), 1191-1220

MLA

하진기(Ha, Jin Kee),박재영(Park, Jae-Young). "재한조선족 집거지의 민족정체성 변화요인과 재편 탐색." 문화와융합, 41.4(2019): 1191-1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