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로 소극장 공간성의 내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이용수 670

영문명
A Study on the Immanent Meaning of Spatiality in the Small Theaters of Daehaekro by the ZMET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동범(Kim, DongBum) 김영재(Kim, YoungJa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4호, 335~3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현대 연극 공간의 인문학적인 연구에 발맞추어 새로운 접근법으로 한국 연극의 중심지인 대학로 소극장에 대한 연극 종사자 및 관객들의 내재적인 의식을 분석했다. 마케팅 분석 기법 중의 하나인 은유추출기법(ZMET)을 활용하여 대학로 소극장에 대한 공유개념을 추출해서 소극장 공간의 동시대의 문화적 의미를 다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대학로 소극장의 공유개념은 ‘소극장의 현장성’이라는 핵심구성개념을 중심으로 ‘감동과 흥분’이라는 정서적 가치를 우선시하며, 관람객의 측면에서는 ‘공감과 교류’를, 연극종사자들을 측면에서는 ‘꿈과 낭만’을 보여주고 있다. ‘소극장의 현장성’은 공연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대리만족’이라는 구성개념에 강한 영향을 주고 있고 ‘공감과 교류’는 관객들에게 ‘여유로운 삶과 예술적 향유‘라는 구성개념에 보다 근접한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대학로 소극장 현실적인 열악한 조건의 부정적인 구성개념이 바닥에 짙게 깔려 있었다. 대학로 소극장 구성개념들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은 현대 인문학적 공간이론가인 르페브르가 말한 재현공간의 공간적인 실천에서 다른 예술장르와 함께 소극장 연극의 필요성 및 가능성을 다시 확인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manent consciousness of theater performers, staffs, and audiences involved in the small theaters of Daehaekro,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center of Korean theater, by employing a new approach while reflecting the humanistic studies of modern theater space. Utilizing a marketing analysis technique known as ZMET, we extracted the Consensus from the small theaters of Daehakro to confirm the cultural meaning of the contemporary small theater spa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 Consensus of the small theaters of Daehaekro focuses on the core idea of the lively atmosphere of the small theater to prioritize the value of emotion and excitement, thus portraying the valu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from the audiences’perspective and“dream and romance”from the workers perspective. The lively atmosphere of the small theater strongly influences the concept of various experiences and vicarious satisfaction for the audience through real performances, and the concept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affects them to move further away from the idea of relaxed life and artistic enjoyment. Furthermore, negative constructs that reveal the harsh reality of the poor conditions found in the small theaters of Daehakro still exist throughout many areas of theater culture. The constructs of Daehaekro theaters can be seen as generally positive in the manner in which the spatial practices of representational space, as mentioned by Lefebvre, confirm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mall theater performances along with other art genr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의 전개
4. 대학로 소극장의 공유개념도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범(Kim, DongBum),김영재(Kim, YoungJae). (2019).대학로 소극장 공간성의 내재적 의미에 관한 연구. 문화와융합, 41 (4), 335-362

MLA

김동범(Kim, DongBum),김영재(Kim, YoungJae). "대학로 소극장 공간성의 내재적 의미에 관한 연구." 문화와융합, 41.4(2019): 335-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