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천주교 목판본 교리서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과 의미 - 『신명초』을 중심으로 -

이용수 57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Orthography of Manuscript Catechism of a Block Book Published by Korean Cathoic Church in the Late 19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순란(Park Soon-ra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4호, 867~90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신명초』을 통하여 19세기 천주교 목판본 교리서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조선 천주교회는 1864년~1865년 8종 13권 13책의 목판본 교리서를 간행하였다. 이 논문에서 사용된 『신명초』은 이 때 간행된 교리서 중 하나이다. 『신명초』의 표기 양상을 어간 말음 표기, 경음 표기, 역사적 표기, 한자음 표기로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신명초』에서 어간 말음은 어간 말음의 형태를 고정시켜 주고, 현실 발음을 나타내도록 표기되었다. 불규칙 용언의 활용과 모음 교체는 현실 발음을 표기하였다. 둘째, 『신명초』에서 경음은 당시에 ㅅ합용병서로 표기하던 관습을 따르지 않고 각자병서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 각자병서가 경음 표기에 사용된 예가 있으나 그것은 제한적인 경우에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신명초』에서 경음 표기에 전면적으로 각자병서를 사용하였고 이 표기 방식이 천주교 활판본 인쇄에도 계승되었다. 셋째, 『신명초』에서 ‘ㆍ’와 이중모음 표기는 중세 문헌 표기와 거의 일치하였다. 중자음 아래에서 비어두의 ‘ㅡ’가 ‘ㆍ’로 변화한 표기는 근대 문헌에 주로 나타나는 표기로 역시 『신명초』이 간행되던 시기보다 앞선 표기 특징이다. 넷째, 한자음은 전운옥편 한자음을 기준으로 표기되었다. 『신명초』 한자음에서 ‘ㆍ’와 이중모음, 구개음이 『전운옥편』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표기되었으나 어두 ㄹㆍㄴ을 가진 한자음은 『전운옥편』의 한자음을 따라 표기된 경우도 있으나 현실 발음을 따라 표기되기도 하였다. 『신명초』의 표기 양상을 볼 때 『신명초』 표기에는 일정한 표기 기준이 있었고 그 표기 기준이 대체로 엄격히 지켜진 것을 볼 수 있다. 이같은 사실은 19세기 후반 천주교회에 규범적인 성격을 가진 표기법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박해 시기 신자들의 신앙을 유지하고 교리를 교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교리서에 규범적인 표기법이 필요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Catholic notation of Korean and its meaning as displayed in the Shinmyeongchohaeng (신명초), a 19th-century Catholic woodcut catechism. The Korean Catholic Church published 13 woodblock catechisms in 1864-1865. The Shinmyeongchohaeng us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catechisms published at that time. We examine four orthographic aspects of the Shinmyeongchohaeng. First, in the Shinmyeongchohaeng root morphemes were written consistently in the same shape. The use of irregular forms and vowel alternations represented the real pronunciation. Second, initial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were written as compound writing of the same letters(各宇竝書), not according to the convention that compound writing of different letter(各宇竝書) be written historically. There are earlier examples of 各宇竝書 used for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but such use was limited. However, the Shinmyeongchohaeng used 各宇竝書 for all initial reinforced (glottalized) sounds, and this notation was followed in printed Catholic books. Third, theㆍvowel and diphthongs writings in the Shinmyeongchohaeng almost match the conventions of Middle Korean writings. The notation whereby changed to under central consonants is largely followed only in 18th century Choseon Dynasty literature. Fourth, Sino-Korean readings were written based on the 『전운옥편』. In the Shinmyeongchohaeng, the Sino-Korean vowel, diphthongs, and palatal consonants are written based on the Sino-Korean readings of the 『전운옥편』, but the Sino-Korean readings of and were written to indicate the contemporary pronunciation. Examination of the Shinmyeongchohaeng shows that there was a certain orthographic standard that was strictly maintained in almost all instances, suggesting that there was an established, normative not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mong Catholic writers. During times of persecution the catechism, which is crucial in maintaining the faith of believers and teaching doctrine, required normative notation.

목차

1. 머리말
2. 어간 말음 표기
3. 경음 표기
4. 역사적 표기
5. 한자음 표기
6.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란(Park Soon-ran). (2019).19세기 천주교 목판본 교리서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과 의미 - 『신명초』을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41 (4), 867-902

MLA

박순란(Park Soon-ran). "19세기 천주교 목판본 교리서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과 의미 - 『신명초』을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41.4(2019): 867-9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