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과 인성교육, 그 존재론적 토대에 대한 물음

이용수 341

영문명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Question of Their Ontological Foundation: From Education to Learning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서동은(Dong-Uhn, Suh)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4호, 183~2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교수 취임 강연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1929)와 「플라톤의 진리론」(1931/32)에 나타난 문제의식에 따라 두 개의 사유 방식을 문제 삼고자 한다. 이 중에 하나는 인공 지능 시대를 특징짓는 알고리즘에 의한 사물 이해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인성 교육의 접근 방식이다.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의 문제점을 생각하면서 인공지능과 인성교육의 접근 방식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고, 그 존재론적 토대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지닌 공통점은 어떤 이상적인 본질 상태를 전제하고 이러한 상태에 이르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낙관적인 가정, 그리고 이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를 바꾸어서 거기에 부응하도록 맞추려는 시도라는 점에 있다. 이 두 시도는 고대 그리스인들과 서양의 학문 전통에서 지속되어는 관점 즉 사물을 본질과 현상으로 나누어 현상을 본질에 비추어 설명하고, 이를 본질에 부합하도록 개선하려는 시도와 그대로 연결된다. 오늘날 한국에서의 인성교육 접근 방식에도 본질과 현상을 나누어서 생각하는 서양의 이원론적인 사고방식이 들어 있으며, 이는 어떤 틀(Frame)을 정해 놓고, 틀 안에 끼우는 방식(enframe)으로 삶 또는 교육의 과정을 이해하는 경향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이러한 교육적 접근 방식을 하이데거의 해체론에 입각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questions two approaches to critical thinking that Martin Heidegger showed in What Is Metaphysics? (1929), his inaugural lecture of professorship, and Plato’s Alethiology (1931/32). One of the two approaches is algorithmic understanding, which is the main feature of the so-called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other is personality education. Comparing these two approaches, I will point out their problems and limitations, and question their ontological grounds. What is common in both approaches is their optimistic presumption that education will lead students to an idealistic state of essence. Thus, it is presumed that when a student fails to satisfy expectations, the teacher should push him or her to fulfill them. This common presumption is parallel to the persisting educational viewpoints of ancient Greece and the West, which tended to divide essence and phenomenon, and tried to fix phenomena according to their presumed essence. This dualistic way of thinking in the West also prevails in the Korean approach to personality education, which see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education as a way to confine (or “enframe [Ge-stell]”) students within an ideally fixed “frame.” This article will analyze and deconstruct this dualistic perspective using Heideggerian criticis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몰아세움(G e-stell)으로서의 인성 교육
3. 인성 교육과 진리 사건
4. 세계관(존재론)의 차이를 알게 하는 교육
5. 자아(주체) 형성의 문제
6. 인성 교육의 토대: 보편성(universitas) 알리기 vs. 유한성 자각하기
7. 보편성(universitas)지향의 대학(universitas), 진리 경험의 장소로서의 대학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동은(Dong-Uhn, Suh). (2019).인공지능과 인성교육, 그 존재론적 토대에 대한 물음. 문화와융합, 41 (4), 183-212

MLA

서동은(Dong-Uhn, Suh). "인공지능과 인성교육, 그 존재론적 토대에 대한 물음." 문화와융합, 41.4(2019): 183-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