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운 이규보의 祖江賦 探析

이용수 65

영문명
A study on Lee Gyu-bo’s ‘Chogang-Bu’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우현식(woo, hyun-shi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8호, 711~73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백운 이규보의 부작품 중 하나인 <조강부>의 저작 의도와 문예미에 대 해 살펴본 것이다. <조강부>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비평이 엇갈리는 작품이다. 호음 정사룡 같은 이는 이규보 최고의 작품으로 꼽았고, 이수광, 김창협 같은 이들은 천박하다고 폄하했다. 과연 어떤 면에서 이러한 엇갈린 평가가 가능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조강부>에 대한 연구는 소략하고, 작품의 저작 의도를 ‘감계’로 한정하는 경향이다. 본고는 부라는 장르의 속성에 주목하면서 <조강부>의 문예미를 찾아보았다. 또 상호텍스트성론이라는 연구 방법론을 접목하여 <조강부>의 저작의도를 살폈다. 부는 시와 산문의 중간 형태의 장르로, 문학의 심미성과 수사성을 강조한다. <조강부>도 이러한 특성을 지니므로, 반복과 과장을 활용한 빼어난 문예미를 가진다. 또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창작되어 온 貶謫詩의 전통을 계승한 작품으로 상호텍스성의 특성을 지닌다. 이를 통해 작품을 볼 때 <조강부>의 저작 의도는 ‘환해’에서 오는 서러움의 표출로 보는 것이 옳다. 평담한 시경을 최고의 시로 평가하는 조선시대의 문인들에게는 <조강부>는 과도한 감정의 노출과 정제되지 못한 작품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하지만, 천편일률적으로 평담한 정서만이 뛰어난 작품의 잣대일 수는 없다. 이규보의 <조강부>는 이를 과감히 탈피했다. 심한 과장과 수식은 부의 전형적 특성을 살리며 전통을 계승했다면, 솔직한 감정을 표출하면서 산문성을 살린 점은 ‘낯설게 하기’라는 문학적 성과를 구현해 낸 빼어난 작품임을 인정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author s intention and literary beauty of Chogang-Bu , which is one of Lee Gyu-bo s works. The evaluations of the Chosun dynasty s writer against the Chogang-bu were different. Ho-eum Jung Sa-ryong called it the best work. The Writers like Lee Soo-kwang and Kim Chang-hyup criticized the work as vulgar. We need to look at how this mixed assessment was possible. The study of the Chogang-bu is small and tends to limit the author s intention to didacticism . Focusing on the property of the Bu( ) genre , this article looked for literary beauty of Chogang-bu . And this article looked for the author s intentions of Chogang-bu with the research methodology of intertextuality theory . Bu is an intermediate genre between poetry and prose, emphasized the aesthetic and rhetoric of literature. Because Boo also has this attribute, it has excellent literary beauty that utilizes repetition and hyperbole. It is also a work that inherits the tradition of Relegation Poetry that has been continuously created in history, and has characteristic of intertextuality. As a result, the author s intention of Chogang-bu is rightly seen as a manifestation of the sadness that comes from the difficulty of government position . The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who considered the naturalness and pureness as the best attribute of poetry, can judged Chogang-bu as an unrefined work and excessive exposure to emotion. However, the naturalness and pureness cannot always be the only criterion of excellence. Lee Gyu-bo s Chogang-bu bailed out boldly. Chogang-bu continued its tradi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Bu genre . And it was able to evoke prose style by expressing his candid feelings. We have to admit that it is a remarkable work that has realized the literary achievement of defamilarization .

목차

1. 머리말
2. ‘賦’장르의 전형성 담지
3. 貶謫詩의 전통 계승
4. 시어의 過慢한 변주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현식(woo, hyun-shik). (2018).백운 이규보의 祖江賦 探析. 문화와융합, 40 (8), 711-736

MLA

우현식(woo, hyun-shik). "백운 이규보의 祖江賦 探析." 문화와융합, 40.8(2018): 711-7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