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동화 희곡 <餘韻>에서 4ㆍ19 재현과 공간

이용수 17

영문명
The Representation of the 4ㆍ19 in Park Dong-hwa s Play <餘韻 >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최상민()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8호, 637~6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극작가 박동화의 희곡 <餘韻>(1962)이 재현하는 ‘4ㆍ19’의 양상과 의미를 밝히고, 그의 현실의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역사적 사건의 재현에서 재현주체의 현실 인식의 문제를 천착함으로써 작품 분석을 위한 논리적 전제로 삼고자 하였다(2장). 그러나 작품은 재현 주체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관점이 낙관주의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충분한 인과적 관계에 의해 드러나지 않은 채 불안정한 봉인으로 귀결되는 결과를 낳았다.(3장) 그 이유는 재현 주체의 사건에 대한 이해의 토대로서 현실에 대한 인식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4장)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동화의 무대공간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타락한 속물적 부르조아의 기표로서만 제시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주변의 승리서사를 보여주고자 하는 재현 주체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다. 둘째, 이는 1960년대 우리 연극계에 나타난 두드러진 변화 가운데 하나인 연극의 전문화와 동인제 연극으로의 변화라는 ‘새로운 연극’에 대한 욕망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박동화의 공간 인식과 실천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도 있다. 첫째, 박동화의 4ㆍ19재현은 낙관주의에 기반한 것으로 인과적 계기성 없이 현실의 모순을 서둘러 봉인하는 모양새를 보여준다. 둘째, 이렇게 된 데에는 당초 그가 갖고 있는 현실의식에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멜로드라마 적인 공간 설정에서 읽히는 것처럼 현실에 대한 치열한 고뇌 없이 이뤄지는 극서사의 전개는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사실주의 극적 요소의 뒤섞여 나타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이는 60년대 연극장 내에서 추구되었던 연극 예술의 전문화와 신파적 연극에 대한 극복이라는 목표의식과도 괴리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아쉬운 부분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4·19 that <餘韻 >, Park Dong-hwa s play represence, and to analyze his space recognition.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is study s purpose, the recognition on the space about the representation subject is inquired in the representation of historic event in order to establish the logical premise for analysis of work(Chapter 2). However, the perspective on the historic event of the representation subject in the work is based on the optimism, which isnt revealed by sufficient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ut results in being concluded as unstable seal(Chapter 3). The reason is that there is problem on the space as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on the event of the representation subject(Chapter 4). The fact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k Dong-hwa s space recognition is not presented simply as a corrupt bourgeois symbol. It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representation subject to intend to show the surrounding victory narration. Second, it reflects the desire for specialization of play, which is one of the noticeable changes appearing in our play world in 1960 s, and new play , which is the change into the literary coterie system. 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limitations in Park Dong-hwa s space recognition and practice. First, his representation of the April 19th Revolution is based on optimism, so it rushes to seal the contradiction of the reality without causal opportunity. Second, the reason is his local mind has a certain degree of limitation. As read in the melodrama space establishment, the dramatic deployment accomplished without intense anguish on the reality appears as the mixture of melodrama elements and realistic dram elements. This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that it shows the discrepancy from the sense of purpose to specialize the art of play and to overcome the melodramatic attribute of play.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역사적 사건의 재현과 공간 인식
3. 혁명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세대갈등의 불안정한 봉인
4. 멜로드라마적 공간 설정과 60년대 사실주의 극으로서의 한계
5.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상민(). (2018).박동화 희곡 <餘韻>에서 4ㆍ19 재현과 공간. 문화와융합, 40 (8), 637-664

MLA

최상민(). "박동화 희곡 <餘韻>에서 4ㆍ19 재현과 공간." 문화와융합, 40.8(2018): 637-6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