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이용수 2077

영문명
A study of AI chatbot as an assistant tool for school English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영(Kim Heyoung) 신동광(Shin Dong Kwang) 양혜진(Yang Hyejin) 이장호(Lee Jang 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89~11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 비서 봇(AI assistant bot) 중 Amazon 사의 Alexa와 Google 사의 Google assistant를 이용하여 두 챗봇과 대화자 사이의 담화수준과 상호작용 능력을 영어학습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세 가지 과업(간단한 대화 나누기, 정보 묻기, 문제 해결하기)을 설계하여 이를 수행하기 위한 질문으로 두 개의 챗봇과 동일한 대화를 나누었다. 챗봇의 발화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챗봇의 대화 성공률, 어휘, 이독 지수, 답변의 길이, 정보의양 등과 같은 양적인 분석과, 어휘 난이도 및 적절성, 대화 적절성, 담화수준의 질적인 측면으로 두 개의 챗봇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두 챗봇 모두 86%이상의 높은 과업 성공률을 보였고, 내용 면에서도 질문에 적절한 답을 제시하였다. 둘째, 챗봇이 사용한 어휘의 97%가 초·중·고 교육과정의 권장어휘 수준에 포함되어있어 교육용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oogle assistant가 Alexa보다 외국어 학습자에 친화적이며, 이독 지수 역시 더 낮아 이해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oogle assistant가 대화자의 모호한 질문에 더욱 적절히 대응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국어학습용 챗봇을 위한 AI 스피커에 대한 개선점과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외국어 교육용 AI 챗봇 개발 및 관련연구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주제어: 인공지능,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tbot in English class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A participant asked questions to the two representative AI chatbots. The questions were about exchanging small talk, asking for information, and solving problem, adop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audio recorded conversation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in order to examine success rate, vocabulary, readability index, and the length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from the chatbot. Quanlitative analyses were also carried out to examine the difficulty of the vocabulary, the adequacy and quality of the conversation with the chatbot.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chatbots showed a high success rate of 86% or more in carrying out the given tasks, and provided adequate responses to the participant’s questions. Next, 97% of the vocabulary used by the chatbots was included in the recommended vocabulary level of English class curriculum in Korea. Furthermore, the Google assistant was more user-friendly than Alexa as its utterance was easier for them to comprehend. Google assistant also presented excellence in responding to the participant’s ambiguous questions. Finally,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for integrating chatbots into English class curriculum, and for future development in AI speakers as tool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영(Kim Heyoung),신동광(Shin Dong Kwang),양혜진(Yang Hyejin),이장호(Lee Jang Ho). (2019).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 89-110

MLA

김혜영(Kim Heyoung),신동광(Shin Dong Kwang),양혜진(Yang Hyejin),이장호(Lee Jang Ho).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019): 89-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